본문 바로가기

레위기 27장 요약 구조 묵상

케리그마 2025. 1. 21.
반응형

레위기 27장 요약

레위기 27장은 서원과 헌물에 대한 규례를 다룹니다. 사람이 하나님께 서원으로 자신이나 가축, 토지 등을 바칠 경우, 그 값을 정하고 속전(속량의 값)을 지불할 수 있는 규정을 제시합니다(레 27:1-13). 첫 소산과 가축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속량할 수 없으며(레 27:26-27), 헌물로 바친 것 중 저주받은 것은 반드시 하나님께 바쳐야 합니다(레 27:28-29).  헌물과 서원에 대한 책임과 하나님께 대한 헌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로써 레위기의 모든 규례는 하나님과의 언약적 관계 속에서 거룩한 삶을 살도록 이스라엘을 이끄는 역할을 마무리합니다.

 

레위기 27장의 구조 분석

  1. 사람과 가축에 대한 서원의 값 (1-13절)
  2. 집과 토지에 대한 서원의 규례 (14-25절)
  3. 첫 소산과 가축의 헌물 규정 (26-27절)
  4. 저주받은 것의 바침 규정 (28-29절)
  5. 서원과 헌물 규례의 총괄 (30-34절)
  6.  

사람과 가축에 대한 서원의 값 (레위기 27:1-13)

레위기 27장은 서원과 헌물에 대한 구체적인 규례를 다루며, 하나님의 백성이 어떤 마음으로 하나님께 헌신해야 하는지를 보여줍니다. 1-13절에서는 사람이 드리는 서원과 가축의 헌물에 대한 값을 정하는 규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해 “사람이 여호와께 특별한 서원을 하였을 때에 사람의 값은…”(2절)이라며 서원한 사람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 값을 정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는 각 개인의 상황과 헌신을 고려하며,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거룩함에 동참할 수 있도록 배려한 규정입니다.

 

또한, 가축을 하나님께 드릴 경우, 흠 있는 짐승과 흠 없는 짐승을 구별하여 흠 없는 것이 하나님께 드려져야 했습니다(9-13절). 이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완전하고 흠 없는 것이어야 함을 강조하며, 헌신의 태도와 헌물의 순결함이 중요함을 가르칩니다.

 

오늘날 이 말씀은 우리의 헌신이 단순히 형식적 의무가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동참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되어야 함을 보여줍니다. 로마서 12:1은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고 말씀합니다. 우리의 삶과 헌신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온전한 예배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집과 토지에 대한 서원의 규례 (레위기 27:14-25)

14-25절에서는 집과 토지를 하나님께 서원으로 드리는 경우에 대한 규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집이나 토지를 서원할 때는 제사장이 그 가치를 평가해야 했습니다. “사람이 자기 집을 여호와께 성별하여 드리려면 제사장이 그것의 우열을 가려 정가할지니”(14절)라는 말씀은 서원이 하나님께 드려지는 정직한 헌신이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특히, 토지에 대한 규정은 희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희년까지 계산하여 그 값을 정할 것이요”(18절)는 말씀은 땅이 하나님의 소유임을 상기시키며, 하나님께 드리는 헌물이 그의 주권 아래 있어야 함을 보여줍니다.

 

이 규례는 하나님께 헌신하는 모든 것이 단순히 물질적 가치를 넘어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분께 속한 삶을 살아가라는 초청임을 나타냅니다. 오늘날 우리의 소유와 삶의 모든 부분이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고백하며, 그의 뜻에 따라 사용되기를 기도합니다. 마태복음 6:33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첫 소산과 가축의 헌물 규정 (레위기 27:26-27)

26-27절에서는 첫 소산과 가축에 대한 헌물 규정이 다뤄집니다. 하나님께서는 첫 소산과 처음 난 가축은 그 자체로 그의 소유임을 명확히 하셨습니다. “가축의 첫 새끼는 여호와께 드릴 첫 새끼라 아무도 그것을 거룩히 구별하지 말지니…”(26절)라는 말씀은 첫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그의 주권과 은혜를 인정하는 행위임을 나타냅니다.

 

첫 소산과 처음 난 가축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은 백성들이 하나님이 모든 것을 공급하시는 분임을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행위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우리의 삶의 ‘첫 것’을 하나님께 드리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의 시간, 재능, 재물의 첫 열매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그의 주권을 고백해야 합니다.

 

잠언 3:9-10은 “네 재물과 네 소산물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창고가 가득히 차고…”라고 약속합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첫 열매가 그의 영광을 나타내며, 그의 복을 경험하는 통로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저주받은 것의 바침 규정 (레위기 27:28-29)

28-29절에서는 저주받은 것, 곧 완전히 하나님께 바쳐진 것에 대한 규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사람이든지 가축이든지… 온전히 바친 것은 팔지도 못하고 무르지도 못하나니 그것은 지극히 거룩함이라”(28절)는 말씀은 하나님께 드려진 것이 완전히 그분께 속한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이 규례는 헌신이 절대적이어야 하며, 하나님께 드린 것을 세상적 용도로 되돌릴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의 헌신과 예배가 전인격적이고, 하나님을 최우선으로 삼는 삶이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우리의 헌신이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께 완전히 드려진 삶이어야 함을 깨닫습니다. 누가복음 9:62에서 예수님은 “손에 쟁기를 잡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나님 나라에 합당하지 아니하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의 삶이 온전히 하나님께 드려지는 헌신으로 가득 차기를 기도합니다.

 

 

서원과 헌물 규례의 총괄 (레위기 27:30-34)

마지막으로, 30-34절은 서원과 헌물에 대한 규례를 총괄하며, 모든 것이 하나님의 소유임을 선언합니다. “땅의 십분의 일 곧 그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열매는 여호와의 것이니…”(30절)라는 말씀은 하나님께 모든 소유권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킵니다.

 

십일조 규정은 하나님의 백성이 그의 공급과 은혜를 기억하며, 그의 뜻에 따라 삶을 살아야 함을 가르칩니다. 십일조는 단순히 물질적 기여가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의존의 고백입니다. 이 규례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축복 속에서 그의 주권을 인정하며 살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우리의 삶과 소유가 하나님께 속해 있음을 인정하고, 그의 나라와 의를 위해 사용해야 함을 배웁니다. 고린도후서 9:7은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우리의 헌신과 예배가 기쁨과 감사로 가득 차기를 소망합니다.

 

 

결론: 온전한 헌신과 하나님의 주권 아래 사는 삶

레위기 27장은 서원과 헌물을 통해 하나님의 주권과 우리의 헌신을 강조합니다. 사람, 가축, 토지, 첫 소산, 그리고 십일조까지 모든 것이 하나님께 속해 있으며, 그의 영광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 모든 규례는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분께 온전한 헌신을 드리는 삶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며, 그분의 사랑에 응답하여 삶의 모든 것을 그분께 드려야 합니다. 로마서 11:36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을지어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거룩함을 반영하며, 그분께 온전히 헌신된 삶이 되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우리의 시간, 재능, 소유, 그리고 삶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사용되며, 그의 나라와 의를 이루는 도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너희는 너희의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로마서 12:1).


레위기 각 장별 요약 및 장별 강해는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모세오경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 1장 강해 설교  (0) 2025.01.21
민수기 장별요약  (0) 2025.01.21
레위기 26장 요약 구조 묵상  (0) 2025.01.21
레위기 25장 요약 구조 묵상  (0) 2025.01.21
레위기 24장 요약 구조 묵상  (0) 2025.0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