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설교문모음93

마태복음 4:19-20 "나를 따라오라"

예수님의 부르심과 순종의 길예수님의 초청: "나를 따라오라"마태복음 4:19-20에서 예수님께서는 갈릴리 바닷가에서 어부로 일하던 시몬과 그의 형제 안드레를 부르십니다.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를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마태복음 4:19). 이 말씀은 단순한 초대가 아니라, 삶을 완전히 변화시키는 부르심이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은 시몬과 안드레는 곧바로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습니다(마태복음 4:20).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부르신 장면은 단순한 만남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 부르심은 개인적인 삶의 변화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명을 향한 여정을 시작하는 순간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단순한 동행이 아니라, 자신을 온전히 내려놓고 새로운 삶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사순절.. 설교문모음 2025. 2. 21.

[설교] 자기를 낮추신 예수님(빌립보서 2:8)

십자가의 순종과 낮아지심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우리는 사순절을 지나며 예수님께서 걸어가신 십자가의 길을 묵상하고 있습니다. 사순절은 단순히 금식하고 경건의 시간을 갖는 기간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겸손히 낮아지시고, 고난을 감당하신 그 깊은 사랑을 깨닫고 우리 삶에 적용하는 시간입니다. 오늘 함께 나눌 말씀은 빌립보서 2장 8절입니다.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빌립보서 2:8). 이 말씀을 통해 예수님의 순종과 낮아지심, 그리고 우리가 걸어가야 할 제자의 길을 함께 묵상해 보고자 합니다.자기를 낮추신 예수님(빌립보서 2:8)예수님께서는 하나님과 동등한 분이셨지만,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스스로 낮추셨습니다. 그분은 영광의 보좌를 .. 설교문모음 2025. 2. 21.

[설교] 자기를 부인하는 삶(마태복음 16:24)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삶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우리는 사순절을 보내며 예수님의 길을 깊이 묵상하고 있습니다. 사순절은 단순히 금식하고 기도하는 시간이 아닙니다. 이 기간은 주님께서 걸어가신 십자가의 길을 따라가며, 우리 자신의 신앙을 돌아보고 주님의 뜻에 더욱 순종하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말씀은 마태복음 16장 24절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분명한 도전을 주십니다.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고 하셨습니다(마태복음 16:24).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십자가의 의미와 예수님을 따르는 삶이 무엇인지 깊이 묵상해야 합니다.자기를 부인하는 삶(마태복음 16:24)예수님을 따르는 첫 번째 단계는 자기 부인입니다. 이는 단.. 설교문모음 2025. 2. 21.

[설교] 이사야 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십자가의 고난과 우리의 구원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우리는 지금 사순절을 지나고 있습니다. 사순절은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고난을 받으시고 십자가를 지신 그 길을 묵상하며, 주님의 사랑과 은혜를 깊이 되새기는 시기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사야 53장 5절의 말씀을 중심으로 예수님의 고난과 그 의미를 살펴보며, 우리가 어떻게 주님의 십자가를 바라보며 살아가야 할지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이사야 53:5)우리는 예수님의 고난을 생각할 때, 단순히 역사적인 사건으로만 여겨서는 안 됩니다. 예수님이 당하신 고난은 바로 우리의 죄 때문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이미 예수님의 오심을 예언하며, 그가 찔리고 상하는 이유가 우리의 허물 때문이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습니다. 죄가 없는 예수님께.. 설교문모음 2025. 2. 21.

사순절 기간 동안 설교하면 좋은 성경의 주제

사순절 기간 동안 설교하면 좋은 성경의 주제사순절은 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의 길을 묵상하며 회개와 헌신을 결단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기간 동안 성도들은 기도와 금식, 말씀을 통해 신앙을 더욱 깊이 다지고, 예수님의 희생과 사랑을 기억해야 합니다. 아래는 사순절 기간 동안 설교하면 좋은 주제들과 관련 성경구절입니다.회개와 용서사순절은 회개의 기간입니다.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며 새롭게 결단하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요한일서 1:9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시편 51:10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십자..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2. 20.

성도는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는 성경구절

성도는 믿음으로 살아야 한다는 성경구절성도는 믿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믿음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신뢰 관계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믿음은 하나님께 대한 확신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우리를 의의 길로 인도합니다. 성경은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으며, 믿음으로 사는 자들이 하나님의 축복과 인도를 경험한다고 가르칩니다.믿음은 구원의 기초구원은 오직 믿음을 통해 주어집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입니다.에베소서 2:8-9너희가 그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니 이는 누구든지 자랑하지 못하게 함이라로마서 3:28그러므로 ..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2. 20.

창세기의 창조와 가나 혼인잔치의 맥락적 연관성

창세기의 창조와 가나 혼인잔치의 맥락적 연관성창세기의 창조 이야기와 요한복음 2장의 가나 혼인잔치는 단순한 사건의 나열이 아니라, 구속사적인 흐름 속에서 깊은 상징적 연관성을 갖고 있습니다. 창세기에서 하나님께서 무질서한 혼돈 가운데서 세상을 창조하신 것처럼, 예수님께서는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창조적인 기적을 행하심으로 새로운 시대를 여셨습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단순한 기적 행위자가 아니라, 새 창조를 이루시는 구속주로서 사역하심을 보여줍니다. 본 글에서는 창조와 가나 혼인잔치의 연관성을 상징적으로 풀어보고, 예수님의 구속 사역과 새 창조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1. 창조와 새 창조의 개념창세기 1장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 1:1)라는 선언으로 시작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무에서 유..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