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이 말하는 거듭남이란?
거듭남의 의미
성경은 거듭남을 무엇이라 말할까요? 문자적으로 '다시 태어남'의 의미지만
요한복음 3장 3절에서 7절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 니고데모가 이르되 사람이 늙으면 어떻게 날 수 있사옵나이까 두 번째 모태에 들어갔다가 날 수 있사옵나이까. 예수께서 대답하시되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물과 성령으로 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느니라. 육으로 난 것은 육이요 영으로 난 것은 영이니 내가 네게 거듭나야 하겠다 하는 말을 놀랍게 여기지 말라.
여기서 예수님은 '거듭남'에 대해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강조하십니다: 물과 성령입니다.
물과 성령으로 거듭남
- 물: 이는 침례(세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침례는 죄 씻음과 새 생명의 시작을 상징합니다.
- 성령: 성령의 역할은 사람의 마음과 영혼을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성령으로 거듭남은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의미합니다.
거듭남의 의미
새로운 출생: 거듭남은 단순한 개선이 아니라, 전적인 변화와 새 출발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분의 희생을 통해 죄에서 구원을 받으며, 하나님의 자녀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적 재생: 거듭남은 우리의 영혼이 하나님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우리가 죄에서 돌아서서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하나님의 자녀: 거듭남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됩니다. 요한복음 1장 12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성령의 내주: 거듭난 사람 안에 성령이 거하십니다. 이는 우리의 삶 속에서 성령의 인도하심과 역사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마서 8장 9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만일 너희 속에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면 너희가 육신에 있지 아니하고 영에 있나니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
거듭남의 결과
새로운 삶: 거듭난 사람은 새로운 삶을 살게 됩니다. 고린도후서 5장 17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
성령의 열매: 거듭난 사람의 삶에는 성령의 열매가 나타납니다.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은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함, 신실, 온유, 절제 등의 열매를 언급합니다.
거듭남은 성경에서 구원의 핵심 개념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성령의 역사를 통해 하나님의 자녀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게 됩니다.
구약에서는 신약에서와 같은 "거듭남"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영적인 재생과 새롭게 되는 개념은 여러 구절에서 암시됩니다. 구약에서의 영적 변화와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신약에서 완전히 계시되는 거듭남의 그림자를 볼 수 있습니다.
구약에서의 영적 변화와 재생의 예
에스겔 36:25-27
"맑은 물을 너희에게 뿌려서 너희로 정결하게 하되 곧 너희 모든 더러운 것에서와 너희 모든 우상 숭배에서 너희를 정결하게 할 것이며. 또 새 영을 너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영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라."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을 새롭게 하고, 그들에게 새로운 영을 주시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신약에서 성령에 의한 거듭남의 개념과 유사합니다.
시편 51:10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다윗은 하나님께 정결한 마음과 새 영을 창조해 달라고 기도합니다. 이는 내적인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예레미야 31:31-34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조상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맺은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이 구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새 언약을 맺으시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으며, 이는 내면의 변화와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의미합니다.
구약의 예시와 신약의 연결
구약에서 보이는 영적 재생과 내면의 변화는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역을 통해 완전히 실현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3장에서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통해 거듭남에 대해 말씀하시면서, 물과 성령으로 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십니다. 이는 구약에서 예언된 영적 변화가 신약에서 성취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론
구약에서는 신약에서 명확히 제시된 거듭남의 개념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영적 재생과 내면의 변화를 통해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 여러 곳에서 암시됩니다. 이러한 구약의 개념들은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완전한 거듭남의 기초가 됩니다. 구약과 신약을 통틀어, 하나님의 백성은 항상 영적인 변화와 재생을 통해 하나님과 더욱 가까워지는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구약의 할례와 연관성
할례와 거듭남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두 가지 개념으로, 각각 다른 시대와 맥락에서 하나님의 백성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할례
할례는 구약에서 주로 나타나는 의식으로, 하나님의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 민족에게 주어진 명령입니다.
구약에서의 할례
아브라함과의 언약: 창세기 17장 10-11절에서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할례를 행하라고 명령하십니다. "너희 중 남자는 다 할례를 받으라 이것이 나와 너희와 너희 후손 사이에 지킬 내 언약이니라 너희는 포피를 베어라 이것이 나와 너희 사이의 언약의 표징이니라"
언약의 표징: 할례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언약의 표징으로, 그들이 하나님의 특별한 소유임을 나타냅니다.
육체적 표식: 할례는 남성의 성기 포피를 제거하는 육체적 행위입니다.
거듭남
거듭남은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성령을 통해 새롭게 태어나는 영적 변화입니다.
신약에서의 거듭남
예수님의 가르침: 요한복음 3장 3-7절에서 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거듭남의 중요성을 설명하십니다.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 수 없느니라"
영적 재생: 거듭남은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는 내면의 변화와 새 출발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생명: 거듭남은 새로운 영적 생명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을 뜻합니다.
공통점
언약의 표징: 할례와 거듭남 모두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나타냅니다. 할례는 구약의 육체적 표징이고, 거듭남은 신약의 영적 표징입니다.
하나님의 백성: 둘 다 하나님께 속한 백성을 구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할례는 이스라엘 민족을 구별하고, 거듭남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자들을 구별합니다.
순종의 행위: 할례와 거듭남 모두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행위입니다. 할례는 율법의 행위로서, 거듭남은 신앙과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집니다.
차이점
육체적 vs. 영적:
할례: 육체적 행위로서 남성의 성기 포피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거듭남: 영적 행위로서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는 내면의 변화입니다.
시대와 언약:
할례: 구약 시대에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 주어진 언약의 표징입니다.
거듭남: 신약 시대에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주어진 영적 재생입니다.
외적 표징 vs. 내적 변화:
할례: 외적인 신체적 표징입니다.
거듭남: 내적인 영적 변화입니다.
포괄성:
할례: 주로 남성에게만 적용되며, 이스라엘 민족에게만 주어진 의식입니다.
거듭남: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며,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들에게 해당됩니다.
결론
할례와 거듭남은 각각 다른 시대와 맥락에서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할례는 구약에서 이스라엘 민족의 육체적 표징으로 주어졌고, 거듭남은 신약에서 성령을 통한 영적 재생으로 주어집니다. 이 둘은 하나님의 백성을 구별하고, 하나님과의 언약을 나타내며, 순종의 행위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육체적 표징과 영적 변화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할례와 거듭남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외적, 내적 변화를 모두 경험하게 됩니다.
'설교문모음 > 설교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교의 종류와 특징 (0) | 2024.10.12 |
---|---|
뛰어난 설교를 위한 이해 (0) | 2024.10.12 |
루스에서 벧엘로 (0) | 2024.07.20 |
[신년 특새 설교] 시편 51. 다윗의 회개와 회복 (0) | 2024.01.04 |
[신년 특새 설교] 히스기야의 위기와 회복 (0) | 2024.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