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가복음 전체 구조 분석

케리그마 2025. 1. 24.
반응형

누가복음 전체 구조 분석

1. 누가복음의 대구조

누가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을 시간적 흐름과 신학적 주제를 따라 체계적으로 기록한 복음서입니다. 아래는 전체적인 대구조입니다. 먼저는 큰 구조의 틀에서 흐름을 보고, 두번째는 세세하게 구분하여 설명을 추가했습니다.

 

 

1.1 서문 (1:1-4)

  • 누가의 저술 목적과 방법 설명
  • 데오빌로에게 헌정

1.2 예수님의 탄생과 준비 (1:5-4:13)

  1. 세례 요한의 탄생 예고 (1:5-25)
  2. 예수님의 탄생 예고 (1:26-38)
  3. 마리아와 엘리사벳의 만남 (1:39-56)
  4. 세례 요한의 탄생과 사가랴의 찬양 (1:57-80)
  5. 예수님의 탄생 (2:1-20)
  6. 아기 예수의 성전 헌정 (2:21-40)
  7. 소년 예수의 성전 방문 (2:41-52)
  8. 세례 요한의 사역 (3:1-20)
  9. 예수님의 세례 (3:21-22)
  10. 예수님의 족보 (3:23-38)
  11. 예수님의 시험 (4:1-13)

1.3 갈릴리 사역 (4:14-9:50)

  1. 나사렛에서의 선포 (4:14-30)
  2. 병자 치유와 귀신 축출 (4:31-44)
  3. 제자들의 부르심 (5:1-11)
  4. 병자 치유와 논쟁 (5:12-6:11)
  5. 열두 제자의 선택 (6:12-16)
  6. 산상수훈 (6:17-49)
  7. 병자 치유와 기적들 (7:1-8:25)
  8. 귀신 들린 자 치유와 회복 (8:26-56)
  9. 오병이어와 베드로의 신앙 고백 (9:1-20)
  10. 변화산 사건 (9:28-36)
  11. 제자 훈련과 교훈 (9:37-50)

1.4 예루살렘으로의 여정 (9:51-19:27)

  1. 사마리아에서의 갈등 (9:51-56)
  2. 제자도를 가르침 (9:57-10:24)
  3.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10:25-37)
  4. 마리아와 마르다의 이야기 (10:38-42)
  5. 기도에 대한 가르침 (11:1-13)
  6. 바리새인들과의 논쟁 (11:14-54)
  7. 제자들에게 가르침 (12:1-59)
  8. 회개와 비유들 (13:1-35)
  9. 식탁 교훈과 비유들 (14:1-24)
  10. 잃은 자를 위한 비유들 (15:1-32)
  11. 부와 재물에 대한 교훈 (16:1-31)
  12. 예수님의 종말론적 가르침 (17:1-37)
  13. 과부와 재판관 비유 (18:1-14)
  14. 부자와 제자도 (18:15-30)
  15. 삭개오의 구원 이야기 (19:1-10)
  16. 므나의 비유 (19:11-27)

1.5 예루살렘에서의 사역과 고난 (19:28-23:56)

  1. 예루살렘 입성 (19:28-40)
  2. 성전 정화 (19:41-48)
  3. 바리새인과 논쟁 (20:1-21:4)
  4. 종말에 대한 가르침 (21:5-38)
  5. 최후의 만찬 (22:1-38)
  6. 겟세마네에서의 기도 (22:39-46)
  7. 예수님의 체포와 심문 (22:47-71)
  8. 빌라도와 헤롯 앞에서의 재판 (23:1-25)
  9. 십자가 처형과 죽음 (23:26-49)
  10. 예수님의 장사 (23:50-56)

1.6 부활과 승천 (24:1-53)

  1. 빈 무덤 (24:1-12)
  2.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 (24:13-35)
  3.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24:36-49)
  4. 예수님의 승천 (24:50-53)

2. 세밀한 구조 분석: 흐름과 주제에 따른 구분

2.1 서문 (1:1-4)

  • 누가는 복음서를 기록한 이유를 설명하며, 데오빌로가 복음의 진리를 확신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체계적인 기록을 약속합니다 (1:1-4).

2.2 예수님의 탄생과 준비 (1:5-4:13)

  1. 세례 요한의 탄생과 사역의 시작: 사가랴와 엘리사벳의 경건함을 배경으로 요한의 출생이 예고됩니다 (1:5-25). 요한은 예수님의 사역을 준비할 역할을 맡습니다.
  2. 예수님의 탄생과 초기 생애: 예수님은 낮은 자의 왕으로 오셨으며, 성전에 헌정된 순간부터 구속자의 사명을 드러냅니다 (2:1-40).
  3. 족보와 정체성: 누가는 예수님의 족보를 아담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기록하여, 예수님의 보편적 구속사적 위치를 보여줍니다 (3:23-38).
  4. 시험의 과정: 광야에서의 시험은 예수님의 메시아적 사역이 시작되기 전에 사탄의 도전에 맞서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4:1-13).

2.3 갈릴리 사역 (4:14-9:50)

  1. 복음의 선포: 예수님은 나사렛에서 자신의 사명을 선언하며, 이 사역은 가난한 자, 병든 자, 눌린 자들에게 초점이 맞춰집니다 (4:14-30).
  2. 제자들과의 동역: 열두 제자를 부르시고, 그들을 훈련시키며 함께 사역하십니다 (5:1-11; 6:12-16).
  3. 기적과 치유: 오병이어와 병자 치유 등은 예수님의 능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가 임했다는 증거로 작용합니다 (8:22-56; 9:10-17).
  4. 신앙의 고백: 베드로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그리스도로 고백하며, 이 시점부터 예수님의 메시아적 사명이 분명해집니다 (9:18-20).

2.4 예루살렘으로의 여정 (9:51-19:27)

  1. 제자도의 강조: 예수님은 자신을 따르는 삶의 대가와 그 가치를 가르칩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이방인까지 포함한 사랑의 본질을 드러냅니다 (10:25-37).
  2. 비유와 가르침: 누가는 예수님의 많은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본질을 설명하며, 잃은 자를 찾는 하나님의 마음을 강조합니다 (15:1-32).
  3. 사회적 정의: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와 같은 이야기는 하나님의 공의와 심판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16:19-31).

2.5 예루살렘에서의 사역과 고난 (19:28-23:56)

  1. 예루살렘 입성과 종말 가르침: 예수님은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성전의 역할을 가르치십니다 (19:28-21:38).
  2. 최후의 만찬: 예수님의 죽음과 희생을 상징하는 최후의 만찬은 구속사의 중심입니다 (22:1-38).
  3. 십자가 사건: 예수님의 희생은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가 만나는 결정적 사건으로 기록됩니다 (23:26-49).

2.6 부활과 승천 (24:1-53)

  1. 부활의 증거: 빈 무덤과 엠마오 제자들과의 만남은 예수님의 부활이 역사적 사실임을 증언합니다 (24:1-35).
  2. 승천: 제자들에게 사명을 맡기신 후, 예수님은 승천하시며 하나님 우편에 앉으십니다. 이는 복음의 완성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 (24:50-5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