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83

마태복음 안에서의 안식일 논쟁 정리

마태복음 안에서의 안식일 논쟁 정리마태복음에서 있었던 안식일 논쟁만을 사건별로 따로 정리한 것입니다. 마태복음에서는 안식일과 관련된 예수님의 행적이 여러 차례 등장하며, 바리새인들과의 논쟁이 중심 사건으로 부각됩니다. 예수님은 율법의 본래 의도가 생명과 자비를 우선하는 것임을 강조하셨으며, 각 사건은 그의 메시야적 정체성과 율법의 성취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각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 봅시다. 1. 안식일에 이삭을 자르는 제자들 (마태복음 12:1-8)사건의 배경과 상황예수님과 제자들은 안식일에 길을 걷던 중 제자들이 배고픔을 느껴 밀밭에서 이삭을 잘라 먹었습니다. 당시 유대 사회에서 안식일에는 노동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으며, 이삭을 자르는 행위는 안식일 규정을 위.. 성경토픽 2025. 2. 5.

마태복음 안에서 율법의 성취자이신 예수 그리스도

마태복음에서 예수님이 율법의 성취자로서의 역할 서론: 마태복음과 예수님의 율법 이해마태복음은 예수님을 구약의 예언을 성취하는 메시야로서 소개하며, 이를 통해 유대인 독자들에게 복음의 신뢰성과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예수님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성취하러 왔다”고 선언하시면서 율법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명확히 합니다. 이는 율법을 무효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적 정신과 참된 의미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구약 예언의 성취 마태복음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를 통해 구약의 여러 예언들이 성취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마태복음 1장과 2장에서는 예수님의 족보와 베들레헴 탄생을 통해 아브라함과 다윗의 계보가 이어짐을 강조합니다. 이는 창세기 22장 .. 성경토픽 2025. 2. 4.

신앙의 핵심, 부활에 대한 언약 신학적 의미 분석

부활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핵심이 되는 이유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이자 구속사의 완성입니다. 단순히 죽음에서 다시 살아난 사건을 넘어, 부활은 죄와 사망의 권세를 이기신 하나님의 능력을 증명하며, 예수님의 메시아적 사명을 입증하는 결정적 사건입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에서 부활이 없으면 우리의 믿음도 헛되며,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죄 가운데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고전 15:17). 따라서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토대이자 복음의 모든 약속이 성취되는 순간입니다. 이 글을 마태복음 28장의 부활 사건을 확장한 것입니다. 마태복음 28장 묵상 및 설교 1. 죄와 사망에 대한 승리 (Victory over Sin and Death)예수님의 부활은 죄와 사망에 대한 궁극적 승리.. 성경토픽 2025. 2. 4.

마태복음 28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8장 설교드디어 마태복음 28장까지 왔습니다. 마태복음을 정말 사랑하지만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마지막 장까지 주해하거나 설교한 적이 없는데 말이죠. 블로그에는 며칠안에 올려 졌지만 자료를 준비하고 정리하기는 거의 2달 가까이 걸린 것 같습니다. 성경을 읽고 주석을 보면서 다시한번 마태복음의 힘을 느꼈습니다. 오늘 마지막 장을 강해하면서 마지막까지 주의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도전의식을 갖게 됩니다.마태복음 28장 요약안식일 다음 날,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가 예수님의 무덤을 방문합니다. 천사가 나타나 무덤이 비어 있음을 알리며, 예수님의 부활을 전합니다(28:1-7). 두 여인은 기쁨으로 제자들에게 알리러 가는 길에 예수님을 만나 경배합니다(28:8-10). 대제사장들은 경비병들에게 돈을 .. 복음서강해 2025. 2. 4.

마태복음 27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7장 설교마태복음 27장 요약예수님은 빌라도에게 넘겨져 재판을 받으십니다(27:1-2). 유다는 자신의 배신을 후회하며 은전을 돌려주고 자살합니다(27:3-10). 빌라도는 예수님의 무죄를 알지만, 군중의 압박에 못 이겨 그분을 십자가에 못 박도록 넘깁니다(27:11-26). 예수님은 조롱과 고통을 당하시며 골고다로 끌려가 십자가에 달리십니다(27:27-44). 예수님은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라 외치며 운명하십니다(27:45-50). 그 순간 성전 휘장이 찢어지고, 땅이 진동하며 부활의 징조가 나타납니다(27:51-53). 아리마대 요셉이 예수님의 시신을 장사하고, 대제사장들은 무덤을 군사로 지키게 합니다(27:57-66).마태복음 27장 구조예수님의 빌라도 앞 재판 (27:1-26)유다.. 복음서강해 2025. 2. 4.

마태복음 26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6장 설교예수님의 마지막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물론 육신적 시간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마지막 때를 알고 죽음을 준비하십니다. 베다니에서 어느 여인이 부은 향유을 통해 자신의 장례가 준비되고 있다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예수님은 과도하게 굘적으로, 신적으로만 해석하지만 한 인간으로서 본다면 깊은 고뇌가 있었을 것입니다. 마태복음을 묵상하고 설교로 작성하면서 참으로 많은 것을 느끼게 됩니다. 현재의 삶이 얼마나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져 있는가를 새삼스럽게 느낍니다.마태복음 26장 요약예수님은 자신의 십자가 죽음이 가까웠음을 제자들에게 알리십니다(26:1-5). 한 여인이 값비싼 향유를 예수님께 부어 장례를 준비하자, 예수님은 그녀의 헌신을 칭찬하십니다(26:6-13). 가룟 유다는 대제사장들에게.. 복음서강해 2025. 2. 4.

마태복음 25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5장 설교마태복음 25장 요약예수님은 열 처녀의 비유를 통해 재림을 준비해야 함을 가르치십니다. 슬기로운 다섯 처녀는 등과 기름을 준비했지만, 미련한 처녀들은 준비하지 않아 혼인잔치에 들어가지 못합니다(25:1-13). 달란트 비유에서는 주인이 맡긴 달란트를 잘 활용한 종들은 칭찬받지만, 사용하지 않은 종은 책망을 받습니다(25:14-30). 마지막으로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예수님은 인자가 심판주로 다시 오셔서 의인과 악인을 분리하실 것임을 말씀하십니다(25:31-46). 의인은 어려운 자들을 돌본 행동으로 영생에 들어가고, 악인은 무관심으로 인해 영벌에 처하게 됩니다.마태복음 25장 구조열 처녀의 비유 (25:1-13)달란트 비유 (25:14-30)양과 염소의 비유 (25:31-46)마태복음.. 복음서강해 2025. 2. 4.

마태복음 24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4장 설교마태복음 24장 요약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될 것을 예언하십니다(24:1-2). 제자들이 말세와 재림의 징조에 대해 묻자, 예수님은 전쟁, 기근, 지진과 같은 재난과 거짓 선지자들의 출현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십니다(24:3-14). 큰 환난과 박해가 임할 것이며, 마지막 때에 인자가 구름을 타고 나타나 심판하실 것을 말씀하십니다(24:15-31). 그러나 그날과 그 시는 오직 하나님만이 아시므로 깨어 있으라고 강조하십니다(24:36-44). 예수님은 충성되고 지혜로운 종의 비유를 통해 재림을 준비하는 삶의 중요성을 가르치십니다(24:45-51).마태복음 24장 구조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예언 (24:1-2)말세와 재림의 징조 (24:3-14)큰 환난과 인자의 재림 (2.. 복음서강해 2025. 2. 4.

마태복음 23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3장 설교마태복음 23장 요약예수님은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위선을 강하게 책망하십니다. 그들은 율법의 세부 규칙을 강조하며 사람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지만, 정작 자신들은 실천하지 않는 외식적인 모습을 보입니다(23:1-12). 예수님은 그들의 위선적 행위를 폭로하며 일곱 번의 "화 있을진저" 선언을 통해 하나님의 심판을 경고하십니다(23:13-36). 특히 그들이 겉으로는 경건한 척하지만 내면은 탐욕과 불의로 가득 찼음을 지적하십니다. 마지막으로 예수님은 예루살렘을 향한 깊은 애통함과 회개를 촉구하며, 하나님의 보호를 거부한 그들에 대한 심판을 예고하십니다(23:37-39).마태복음 23장 구조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의 위선에 대한 경고 (23:1-12)일곱 번의 "화 있을진저" 선언 (23:.. 복음서강해 2025. 2. 4.

신약에서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 분석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1. 다윗 언약과 메시아적 기대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구약에서부터 이어져 온 메시아적 기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사무엘하 7장에서 하나님은 다윗에게 영원한 왕국을 약속하셨습니다. 이 다윗 언약은 다윗의 후손이 영원히 왕위에 앉아 통치할 것이라는 약속으로, 이스라엘의 메시아 사상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내가 네 왕국의 집을 영원히 세우리라”(삼하 7:16)는 언약은 이후 선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언급되며(이사야 9:7, 예레미야 23:5-6), 메시아가 다윗의 혈통에서 나올 것이라는 희망을 심어주었습니다. 제2성전기 문헌에서도 다윗의 자손에 대한 메시아적 기대가 나타납니다. 쿰란 문서(특히 4Q252와 같은 해석적 문서)에서는 다윗의 계보에서 나올 메시아가 .. 성경토픽 2025. 2. 4.

마태복음 22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2장 강해마태복음 22장 요약예수님은 혼인잔치 비유를 통해 하나님의 초대에 응하지 않는 자들에게 심판이 있을 것임을 경고하십니다(22:1-14). 바리새인과 헤롯 당원들이 세금 문제로 함정을 파지만,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돌리라고 대답하십니다(22:15-22). 사두개인들은 부활에 대한 질문을 하지만, 예수님은 그들의 무지를 지적하며 부활의 실재를 가르치십니다(22:23-33). 바리새인들이 율법 중 가장 큰 계명에 대해 묻자, 예수님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율법의 핵심이라고 말씀하십니다(22:34-40). 마지막으로 예수님은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이면서도 주님이심을 설명하며 그들의 무지를 드러내십니다(22:41-46).마태복음 22장 구조혼인잔치.. 복음서강해 2025. 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