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활6

신앙의 핵심, 부활에 대한 언약 신학적 의미 분석

부활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핵심이 되는 이유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이자 구속사의 완성입니다. 단순히 죽음에서 다시 살아난 사건을 넘어, 부활은 죄와 사망의 권세를 이기신 하나님의 능력을 증명하며, 예수님의 메시아적 사명을 입증하는 결정적 사건입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에서 부활이 없으면 우리의 믿음도 헛되며,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죄 가운데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고전 15:17). 따라서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토대이자 복음의 모든 약속이 성취되는 순간입니다. 이 글을 마태복음 28장의 부활 사건을 확장한 것입니다. 마태복음 28장 묵상 및 설교 1. 죄와 사망에 대한 승리 (Victory over Sin and Death)예수님의 부활은 죄와 사망에 대한 궁극적 승리.. 성경토픽 2025. 2. 4.

마태복음 28장 묵상 및 설교

마태복음 28장 설교드디어 마태복음 28장까지 왔습니다. 마태복음을 정말 사랑하지만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마지막 장까지 주해하거나 설교한 적이 없는데 말이죠. 블로그에는 며칠안에 올려 졌지만 자료를 준비하고 정리하기는 거의 2달 가까이 걸린 것 같습니다. 성경을 읽고 주석을 보면서 다시한번 마태복음의 힘을 느꼈습니다. 오늘 마지막 장을 강해하면서 마지막까지 주의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도전의식을 갖게 됩니다.마태복음 28장 요약안식일 다음 날,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가 예수님의 무덤을 방문합니다. 천사가 나타나 무덤이 비어 있음을 알리며, 예수님의 부활을 전합니다(28:1-7). 두 여인은 기쁨으로 제자들에게 알리러 가는 길에 예수님을 만나 경배합니다(28:8-10). 대제사장들은 경비병들에게 돈을 .. 복음서강해 2025. 2. 4.

신약에서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 분석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1. 다윗 언약과 메시아적 기대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구약에서부터 이어져 온 메시아적 기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사무엘하 7장에서 하나님은 다윗에게 영원한 왕국을 약속하셨습니다. 이 다윗 언약은 다윗의 후손이 영원히 왕위에 앉아 통치할 것이라는 약속으로, 이스라엘의 메시아 사상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내가 네 왕국의 집을 영원히 세우리라”(삼하 7:16)는 언약은 이후 선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언급되며(이사야 9:7, 예레미야 23:5-6), 메시아가 다윗의 혈통에서 나올 것이라는 희망을 심어주었습니다. 제2성전기 문헌에서도 다윗의 자손에 대한 메시아적 기대가 나타납니다. 쿰란 문서(특히 4Q252와 같은 해석적 문서)에서는 다윗의 계보에서 나올 메시아가 .. 성경토픽 2025. 2. 4.

요나의 표적의 성경신학적 의미

요나의 표적의 성경신학적 의미이번들은 12장에 등장하는 '요나에 표적'에 대한 좀더 깊은 글입니다. 저도 성경을 연구는 하지만 잘 모르기 때문에 다양한 주석들을 참고해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봤습니다.  마태복음 12장에서는 예수님께서 자신을 시험하려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에게 "요나의 표적 외에는 다른 표적이 주어지지 않을 것"(마태복음 12:39)이라고 선언하십니다. 이 말씀에서 언급된 요나의 표적은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요나서에 등장하는 요나의 사역과 그의 경험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예표하며, 구원의 범위와 하나님의 긍휼을 강조하는 중요한 신학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예수님은 요나의 표적을 통해 유대인들의 불순종을 경고하는 동시에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고 있.. 복음서강해 2025. 2. 4.

요한복음에 나타난 부활의 신학적 분석

요한복음에 나타난 부활의 의미: 신학적 분석요한복음에서 ‘부활’은 단순히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사건을 넘어, 예수님의 신성과 구속 사역, 영생의 약속을 깊이 있게 나타냅니다. 요한복음은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성취되는 것을 강조하며, 예수님을 믿는 자들이 새로운 생명에 참여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또한 모든 성도들의 본으로서 예수님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요한복음 안에서 부활이 갖는 의미를 교리적 차원에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예수님 자신이 부활과 생명임을 선언하심요한복음 11장 25절에서 예수님은 나사로의 부활 사건 직전, 마르다에게 이렇게 선언하십니다."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이 말씀은 예수님이 단순히 부활을 행하시는 능.. 성경토픽 2025. 1. 31.

요한복음 20장 묵상 및 강해 설교

요한복음 20장 강해요한복음 20장 요약막달라 마리아는 예수님의 무덤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자들에게 알립니다(20:1-2). 베드로와 요한이 무덤에 달려와 빈 무덤을 확인하며, 마리아는 슬퍼하며 무덤을 지킵니다. 그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나타나시고 그녀는 주님을 알아봅니다(20:11-18).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평강을 주시며 성령을 받으라고 하십니다(20:19-23). 그러나 도마는 처음에 부활을 믿지 않다가, 예수님께서 다시 나타나셔서 손과 옆구리를 보여주심으로 믿게 됩니다(20:24-29). 요한은 예수님의 부활을 통해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이 복음의 목적임을 밝힙니다(20:30-31).요한복음 20장 구조빈 무덤과 막달라 마리아의 보고 (20:1-10)부활하신 예수님의 마.. 복음서강해 2025.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