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82

요한복음 9:13~34 묵상 및 설교

영적 소경과 영적 깨달음의 대조바리새인들의 심문과 소경의 증언 (요 9:13-17)예수께서 소경의 눈을 뜨게 하신 사건이 소문으로 퍼지자, 이 일이 바리새인들에게 전해집니다. 사람들이 치유받은 소경을 바리새인들에게 데리고 가자, 그들은 치유가 이루어진 날이 안식일임을 문제 삼습니다(요 9:14).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율법에 따라 안식일을 지키는 것을 중요시했으나, 안식일의 진정한 의미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구원을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소경에게 어떻게 치유를 받았는지 묻습니다. 이에 소경은 예수께서 진흙을 만들어 눈에 바르시고 씻으라 하신 대로 했더니 시력이 회복되었다고 증언합니다(요 9:15). 그러나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의 행동이 안식일 규정을 어겼다고 판단하며 그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 2025. 2. 9.

요한복음 9:1~12 묵상과 설교

요한복음 9:1~12 묵상과 설교예수님과 소경의 만남 (요 9:1-2)예수님께서 길을 지나가실 때, 태어날 때부터 소경이었던 한 사람을 보셨습니다. 제자들은 이 사람의 고난을 죄의 결과로 해석하며 예수님께 질문합니다. “이 사람이 맹인으로 태어난 것이 누구의 죄 때문입니까? 자신입니까, 그의 부모입니까?”(요 9:2) 당시 유대인들은 질병과 장애를 죄의 결과로 이해했습니다. 제자들의 질문은 이러한 사회적 통념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를 부정하시며, 고난의 원인을 죄에 돌리는 사고방식을 교정하십니다. 고난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중요한 진리를 말씀하십니다. 고난의 목적과 하나님의 영광 (요 9:3-5)예수님은 제자들의 질문에 대해 "이 사람이나 그의 부모가 죄를 ..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 2025. 2. 9.

생명의삶 2025년 2월호 본문

생명의삶 2025년 2월호 본문요한복음 9장~16장 요약 예수님은 소경을 고치시며 바리새인들의 영적 소경을 책망하십니다(9장). 이어 자신을 '선한 목자'로 비유하시며, 영생을 약속하십니다(10장). 나사로의 죽음을 통해 예수님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라고 선언하시고, 나사로를 다시 살리십니다(11장). 예루살렘에 입성한 예수님은 자신의 죽음을 예고하십니다(12장).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새 계명인 사랑을 명령하십니다(13장). 예수님은 천국 처소와 보혜사 성령을 약속하시며 제자들을 위로하십니다(14장). 참 포도나무 비유로 예수님 안에 거하며 사랑을 실천하라고 가르치십니다(15장). 마지막으로 성령의 사역과 환난을 예고하시며, "내가 세상을 이기었다"는 말씀으로 제자들에게 평안을..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 2025. 2. 9.

요한복음 11:17~27 묵상

요한복음 11:17~27 묵상요한복음 11:17~27 본문은 예수님께서 나사로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이 부분을 주해적 관점에서 묵상하며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배경과 전반적 흐름이 장면은 나사로가 죽은 지 나흘째 되는 날 예수님이 베다니에 도착하신 상황입니다. 나사로의 누이들인 마르다와 마리아는 깊은 슬픔에 빠져 있습니다. 유대인의 관습상 사망 후 나흘이 지나면 시신이 부패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나사로가 완전히 죽었다는 사실이 강조됩니다. 2. 주요 본문 내용 및 주해요 11:17-19 – 나사로의 상태와 베다니로의 도착예수님은 나사로가 이미 무덤에 있은 지 나흘째 되는 날 베다니에 도착하십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죽음 후 3일 동안은 영혼이 시신 근처에 머물..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 2025. 2. 9.

생명의삶 2025년 3월호 본문

생명의삶 2025년 3월호 본문요한복음이란?저자와 기록 시기요한복음은 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이 저자로 인정됩니다. 요한은 예수님의 제자로서 ‘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로 언급되며(요 13:23, 19:26), 예수님의 사역을 직접 목격한 인물로 묘사됩니다. 본서는 대체로 A.D. 85~90년경, 요한이 에베소에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기록 목적요한복음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독자들이 예수님을 믿고 영생을 얻도록 하기 위해 기록되었습니다(요 20:31). 특히 초대 교회의 성도들이 유대교와 헬라 철학의 도전 속에서 신앙적 확신을 갖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내용과 특징요한복음은 예수님의 신성과 구원의 본질을 강조하는 독특한 복음서입니다. 공관복음서와 달리.. 성경토픽/생명의삶묵상 2025.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