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경토픽371

누가복음 8:1-15 강해

누가복음 8:1-15 강해서론누가복음 8장 1절부터 15절은 예수님의 사역과 가르침, 특히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진리를 전달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이 본문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복음 전파와 그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반응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텍스트는 그리스도인이 복음을 듣고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예수님의 복음 전파 (8:1-3)예수님은 여러 성읍과 마을을 순회하시며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파하셨습니다. 이때 열두 제자가 동행하였으며, 특히 몇몇 여성들이 언급됩니다. 막달라 마리아, 요안나, 수산나 등의 여인들이 그들의 소유로 예수님을 섬겼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예수님께서 여러 지역을 순회하며 복음을 전하신 모습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특정 지역에 머물지 않고 전 .. 성경토픽/매일성경묵상 2025. 2. 7.

마태복음 안에서의 안식일 논쟁 정리

마태복음 안에서의 안식일 논쟁 정리마태복음에서 있었던 안식일 논쟁만을 사건별로 따로 정리한 것입니다. 마태복음에서는 안식일과 관련된 예수님의 행적이 여러 차례 등장하며, 바리새인들과의 논쟁이 중심 사건으로 부각됩니다. 예수님은 율법의 본래 의도가 생명과 자비를 우선하는 것임을 강조하셨으며, 각 사건은 그의 메시야적 정체성과 율법의 성취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각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 봅시다. 1. 안식일에 이삭을 자르는 제자들 (마태복음 12:1-8)사건의 배경과 상황예수님과 제자들은 안식일에 길을 걷던 중 제자들이 배고픔을 느껴 밀밭에서 이삭을 잘라 먹었습니다. 당시 유대 사회에서 안식일에는 노동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으며, 이삭을 자르는 행위는 안식일 규정을 위.. 성경토픽 2025. 2. 5.

마태복음 안에서 율법의 성취자이신 예수 그리스도

마태복음에서 예수님이 율법의 성취자로서의 역할 서론: 마태복음과 예수님의 율법 이해마태복음은 예수님을 구약의 예언을 성취하는 메시야로서 소개하며, 이를 통해 유대인 독자들에게 복음의 신뢰성과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예수님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성취하러 왔다”고 선언하시면서 율법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명확히 합니다. 이는 율법을 무효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적 정신과 참된 의미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의 탄생과 구약 예언의 성취 마태복음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를 통해 구약의 여러 예언들이 성취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마태복음 1장과 2장에서는 예수님의 족보와 베들레헴 탄생을 통해 아브라함과 다윗의 계보가 이어짐을 강조합니다. 이는 창세기 22장 .. 성경토픽 2025. 2. 4.

신앙의 핵심, 부활에 대한 언약 신학적 의미 분석

부활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핵심이 되는 이유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중심이자 구속사의 완성입니다. 단순히 죽음에서 다시 살아난 사건을 넘어, 부활은 죄와 사망의 권세를 이기신 하나님의 능력을 증명하며, 예수님의 메시아적 사명을 입증하는 결정적 사건입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에서 부활이 없으면 우리의 믿음도 헛되며,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죄 가운데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고전 15:17). 따라서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토대이자 복음의 모든 약속이 성취되는 순간입니다. 이 글을 마태복음 28장의 부활 사건을 확장한 것입니다. 마태복음 28장 묵상 및 설교 1. 죄와 사망에 대한 승리 (Victory over Sin and Death)예수님의 부활은 죄와 사망에 대한 궁극적 승리.. 성경토픽 2025. 2. 4.

신약에서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 분석

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의 신학적 의미1. 다윗 언약과 메시아적 기대다윗의 자손이라는 표현은 구약에서부터 이어져 온 메시아적 기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사무엘하 7장에서 하나님은 다윗에게 영원한 왕국을 약속하셨습니다. 이 다윗 언약은 다윗의 후손이 영원히 왕위에 앉아 통치할 것이라는 약속으로, 이스라엘의 메시아 사상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내가 네 왕국의 집을 영원히 세우리라”(삼하 7:16)는 언약은 이후 선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언급되며(이사야 9:7, 예레미야 23:5-6), 메시아가 다윗의 혈통에서 나올 것이라는 희망을 심어주었습니다. 제2성전기 문헌에서도 다윗의 자손에 대한 메시아적 기대가 나타납니다. 쿰란 문서(특히 4Q252와 같은 해석적 문서)에서는 다윗의 계보에서 나올 메시아가 .. 성경토픽 2025. 2. 4.

산헤드린 공의회(Sanhedrin)는 어떤 곳인가?

산헤드린 공의회(Sanhedrin)신약 성경에 종종 등장하는 공회, 또는 산헤드린이란 표현은 '산헤드린 공의회'를 말합니다. 종교와 정치 일체로 된 이스라엘 안에서 유일무이한 권력을 행사한 곳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헬라와 로마의 속국으로 변하면서 산헤드린 공의회도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오늘은 성경 속에서 등장하는 산헤드린이 어떤 곳인지를 개론적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시대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모든 것을 다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1세기 팔레스타인의 시대에 좀더 집중했습니다. 구성원와 역할 등은 변화가 없습니다. 1. 산헤드린 공의회(Sanhedrin)의 개요산헤드린 공의회는 예수님의 시대에 유대 민족의 최고 종교 및 사법 기구로, 공적인 의결과 재판을 주관했습니다. 산헤드린의 이름은 헬라어 ".. 성경토픽 2025. 1. 31.

요한복음에 나타난 부활의 신학적 분석

요한복음에 나타난 부활의 의미: 신학적 분석요한복음에서 ‘부활’은 단순히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사건을 넘어, 예수님의 신성과 구속 사역, 영생의 약속을 깊이 있게 나타냅니다. 요한복음은 부활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성취되는 것을 강조하며, 예수님을 믿는 자들이 새로운 생명에 참여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또한 모든 성도들의 본으로서 예수님의 부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요한복음 안에서 부활이 갖는 의미를 교리적 차원에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예수님 자신이 부활과 생명임을 선언하심요한복음 11장 25절에서 예수님은 나사로의 부활 사건 직전, 마르다에게 이렇게 선언하십니다."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이 말씀은 예수님이 단순히 부활을 행하시는 능.. 성경토픽 2025.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