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가서강해89

욥기 8장 강해 설교

욥기 8장욥기 8장에서 욥의 친구 중 하나인 빌닷이 첫 번째 발언을 합니다. 그는 욥의 말이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합니다(욥 8:2-3). 빌닷은 욥의 자녀들이 멸망한 것은 그들의 죄 때문이며, 욥이 정직하다면 하나님께서 그를 회복시켜 주실 것이라고 주장합니다(욥 8:4-7). 그는 조상들의 지혜를 인용하며, 하나님을 찾고 의로운 길을 걸으면 반드시 형통함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욥 8:8-10). 또한, 악인은 반드시 멸망하고 의인은 번영한다는 논리를 펴며(욥 8:11-19), 욥에게 하나님을 의지하라고 권면합니다(욥 8:20-22). 그러나 빌닷의 말은 지나치게 단순한 인과응보의 논리에 갇혀 있으며, 욥의 고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빌닷의 주장이 모두 틀렸다..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7장 강해 설교

욥기 7장욥기 7장에서 욥은 자신의 삶이 철저한 고난과 고통 속에 있음을 탄식하며, 인간의 생애가 고달픈 노동과 같다고 말합니다(욥 7:1-6). 그는 밤이 되면 잠들 수도 없고, 아침을 기다리며 괴로워합니다. 욥은 하나님께 자신의 괴로움을 직접 토로하며, 왜 자신을 감찰하시고 쉬지 못하게 하시는지 묻습니다(욥 7:17-20). 그는 자신의 삶이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한낱 존재와 같다고 여기며, 차라리 하나님께서 자신을 내버려 두시기를 간구합니다(욥 7:21). 이 부분은 역설적입니다. 자신을 존귀한 존재로 여기는 하나님에 대한 감사의 내용이기도 합니다. 욥기 7장은 극심한 고통 속에서 인간이 느끼는 무력감과, 하나님께 대한 깊은 질문을 담고 있습니다. 욥기 7장 구조분석인생의 고달픔과 허무함 (욥 ..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6장 강해 설교

욥기 6장욥기 6장에서 욥은 자신이 겪는 고통이 너무 크므로, 자신의 말이 과장되거나 감정적인 것이 당연하다고 변호합니다(욥 6:2-3).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치셨기에 절망하고 있으며, 죽기를 원하는 심정을 토로합니다(욥 6:8-9). 욥은 자신의 친구들이 신뢰할 수 없는 자들처럼 행동한다고 비판하며(욥 6:14-21), 그들이 진정으로 위로자가 되려면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고 정죄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욥 6:24-30). 욥기 6장은 고난 속에서 인간이 겪는 심리적 갈등과 위로자의 역할에 대해 깊은 교훈을 줍니다. 욥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이제 6장의 구조와 본문 묵상으로 들어가 봅시다. 욥기 6장 구조분석욥의 고난과 절망의 무게 (욥 6:1-7)죽음을 바.. 시가서강해 2025. 3. 14.

욥기 5장 강해 설교

욥기 5장욥기 5장에서 엘리바스는 계속해서 욥에게 권면하며, 인과응보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는 악인을 벌하시고, 겸손한 자를 높이신다고 주장하며(욥 5:3-5), 사람이 스스로 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고난은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욥 5:6-7). 그는 욥에게 하나님께 도움을 구할 것을 권면하며,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책망하실지라도 결국에는 회복시키시는 분이심을 강조합니다(욥 5:17-18). 엘리바스는 욥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순종한다면 다시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지만(욥 5:24-26), 그의 논리는 욥의 실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단순한 인과응보적 사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인과응보의 원리에 대한 강조 (욥 5:1-7)하나님께 의뢰할 것을 권면 (욥 5:8-16)하.. 시가서강해 2025. 3. 13.

욥기 4장 강해 설교

욥기 4장욥기 4장은 욥의 친구 엘리바스가 처음으로 욥에게 말하는 장면입니다. 엘리바스는 욥이 과거에 많은 사람들을 위로했지만, 이제 자신이 고난을 당하자 낙심한다고 지적합니다(욥 4:3-5). 그는 전통적인 인과응보의 논리를 제시하며, 죄 없는 자가 망한 적이 없다고 주장합니다(욥 4:7-8). 또한, 엘리바스는 자신이 본 환상을 언급하며,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의로울 수 없다고 말합니다(욥 4:12-21). 그의 논리는 하나님이 의로우시므로 욥의 고난도 어떤 죄의 결과라는 점을 암시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 속에서 엘리바스는 욥의 고통을 깊이 공감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원리를 욥의 상황에 적용하는 한계를 보입니다.엘리바스의 첫 번째 연설 서론 (욥 4:1-6)인과응보의 논리 제시 (욥 4:7-11).. 시가서강해 2025. 3. 8.

욥기 3장 강해 설교

욥기 3장욥기 3장은 욥이 극심한 고통 속에서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며 절망하는 장면입니다. 그는 자신이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며 탄식하고, 어째서 하나님께서 자신을 살아 있게 두셨는지 질문합니다(욥 3:1-3). 욥은 고난받는 자들이 오히려 죽음을 통해 안식을 얻는다고 생각하며, 자신도 죽음을 바란다고 말합니다(욥 3:11-19). 그는 고통받는 자에게 빛이 주어지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여겨 하나님께 질문하며, 자신의 삶이 끝없는 고통과 두려움 속에 있다고 고백합니다(욥 3:20-26). 이는 욥의 깊은 절망과 고난 속에서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이후 친구들과의 논쟁이 시작되는 계기가 됩니다.욥의 탄식과 생일을 저주함 (욥 3:1-10)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절망 (욥 3.. 시가서강해 2025. 3. 8.

욥기 2장 강해 설교

욥기 2장욥기 2장은 하늘 회의에서 사탄이 다시 욥을 시험하도록 허락받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사탄은 욥이 여전히 하나님을 경외하는 이유가 건강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그의 몸을 치면 반드시 하나님을 저주할 것이라고 말합니다(욥 2:4-5). 이에 하나님은 사탄에게 욥의 생명만은 건드리지 말라고 허락하십니다(욥 2:6). 이후 사탄은 욥의 온몸에 악성 종기를 나게 하여 극심한 고통을 주었고, 그의 아내조차 하나님을 저주하고 죽으라고 권합니다(욥 2:9). 그러나 욥은 이를 거절하며, 선한 일도 받아들였으니 재앙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합니다(욥 2:10). 세 친구 엘리바스, 빌닷, 소발이 그를 위로하려 찾아왔으나, 욥의 참담한 모습을 보고 일곱 날 동안 아무 말 없이 함께 앉아 있었습니다(욥 2:11-.. 시가서강해 2025.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