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4

욥기 19장 강해 설교

욥기 19장 강해욥기 19장에서 욥은 친구들의 계속되는 비난에 대해 깊은 탄식을 합니다. 그는 친구들이 자신을 모욕하고 괴롭게 하며, 하나님조차도 자신을 대적하시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말합니다(욥 19:1-12). 그는 자신의 가족과 친지들마저 자신을 버렸으며, 모든 사람에게 버림받은 외로운 존재가 되었다고 호소합니다(욥 19:13-22). 그러나 이러한 절망 속에서도 욥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구속자 되심을 믿으며, 마지막 날에 자신이 하나님을 대면하게 될 것이라고 선언합니다(욥 19:23-27). 이는 욥기 전체에서 가장 신앙적인 고백 중 하나로, 절망 속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신뢰를 잃지 않는 욥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욥기 19장은 인간의 고난 속에서 하나님을 바라보는 신앙의 본질을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 시가서강해 2025. 3. 17.

욥기 18장 강해 설교

욥기 18장 강해과도하게 이성적이고 실리적인 사람은 감정적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막무가내로 대할 때가 많습니다. 침착하고 놀리적으로 보있지만 인간적인 연민이 없는 사람에 가깝습니다. 욥기 18장은 빌닷이 욥에게 두 번째로 말하는 내용입니다. 빌닷은 욥의 말이 공허하고 무분별하다며 강하게 질책합니다(욥 18:1-4). 그는 악인의 운명이 필연적으로 멸망과 고통으로 귀결된다고 강조하며, 욥이 겪고 있는 불행이 바로 그 증거라고 주장합니다(욥 18:5-21). 빌닷은 악인의 등불이 꺼지고, 함정에 빠지며, 자손까지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욥 18:5-10). 그는 악인의 집이 황폐하게 되고, 후손이 끊어지며, 결국 세상에서 기억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합니다(욥 18:11-21). 그러나 빌닷의 논리는 지.. 시가서강해 2025. 3. 17.

욥기 17장 강해 설교

욥기 17장 요약앞이 보이지 않으면 절망하기 마련이니다. 욥도 자신의 생명이 사그러지는 것을 느끼면서 탄식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결말을 압니다. 그렇죠. 믿음도 그렇습니다. 우리의 결말은 영원한 천국입니다. 소망을 가지고 살아가야 합니다. 자 이제 욥의 탄식속들어가 그의 고통을 느껴 봅시다. 욥기 17장은 욥이 자신의 생명이 끝나가고 있음을 탄식하며, 친구들의 비난 속에서 하나님의 공의를 갈망하는 내용입니다. 욥은 자신의 기력이 쇠하고 무덤이 가까워졌음을 인식하며, 친구들의 위로가 오히려 그를 더 괴롭게 한다고 말합니다(욥 17:1-2).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보증인이 되어 주시기를 간구하며(욥 17:3), 지혜롭다 여겨지는 자들이 실상은 지혜를 잃었다고 말합니다(욥 17:4-5). 욥은 자신이 조롱거..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6장 강해 설교

욥기 16장욥기 16장에서 욥은 친구들의 위로가 오히려 자신을 괴롭게 한다고 토로합니다(욥 16:1-5).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공격하는 것처럼 느껴지며, 온몸이 극심한 고통 속에 있다고 탄식합니다(욥 16:6-14). 욥은 자신이 억울하게 고난을 당하고 있으며, 자신을 변호해 줄 사람이 없다고 절망하지만, 동시에 하늘에 계신 증인이 자신을 변호해 주실 것을 기대합니다(욥 16:15-22). 욥의 고백은 깊은 절망 속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신뢰를 완전히 놓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그는 자신의 무죄를 입증해 줄 분이 하나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인간의 위로보다 하나님께 직접 호소하는 것이 유일한 희망임을 깨닫습니다. 욥기 16장은 신앙의 깊은 갈등과 하나님을 향한 신뢰가 어떻게 함께 갈 수 있는지를 ..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5장 강해 설교

욥기 15장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일한다고 하지만 그것이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우고 욕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너무 쉽게 하나님을 안다고 말한다면 큰 오류에 빠집니다. 엘리바스가 바로 그런 사례입니다. 그는 스스로 하나님의 뜻을 잘 안다고 생각하면 하나님의 잣대?로 욥을 비판했지만 자신이 하나님을 욕되게 했다는 것을 알지 못하니다. 자, 이제 15장을 통해 잘못된 신앙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봅시다. 욥기 15장은 엘리바스의 두 번째 연설로, 그는 욥을 강하게 비판하며 그의 논리를 반박합니다. 엘리바스는 욥이 헛된 지식을 말하며 스스로를 의롭다고 주장하는 것이 하나님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말합니다(욥 15:1-6). 그는 인간이 본래 죄인으로 태어났으며, 하나님 앞에서 의로울 수 없음을 강조하며 욥의 무죄 주..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4장 강해 설교

욥기 14장인생이 뭘까요? 나이들어 보니 참 짧고 허무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허무는 세속적 허무는 아닙니다. 인간의 한계에서 오는 핍적이 아닐까요? 그렇기 때문에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갈망하는 것이고. 하여튼 오늘 14장에서는 자신의 삶에 대한 원초적 질문을 던집니다. 깊이 들어가 묵상해 봅시다. 욥기 14장에서 욥은 인간의 연약함과 짧은 생애를 강조하며, 하나님께서 왜 인간을 이처럼 심판하시는지를 질문합니다(욥 14:1-6). 그는 나무조차도 다시 살아날 희망이 있지만, 인간은 죽으면 다시 살지 못한다며 절망합니다(욥 14:7-12). 이어서 욥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극히 연약한 존재로 창조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엄격하게 심판하시는지를 탄식합니다(욥 14:13-17). 마지막으로 그는 인간의 ..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3장 강해 설교

욥기 13장욥은 억울할까요? 우리는 압니다. 하지만 친구들은 욥의 말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가 욥을 읽을 때는 천상에서 일어난 하나님가 사단과의 대화를 알고 있기 때문이죠. 자 이제 13자에서 욥의 이야기를 들어 봅시다. 욥기가 왜 지혜서인지는 이 장을 통해서 잘 보여줍니다. 욥기 13장에서 욥은 자신의 억울함을 더욱 강하게 주장하며, 친구들의 잘못된 논리를 비판합니다(욥 13:1-12). 그는 친구들이 하나님을 대신하여 변호하려 하지만, 그들의 말이 거짓되고 편협하다고 말합니다. 욥은 자신이 하나님과 직접 변론하기를 원하며, 자신의 무죄를 주장합니다(욥 13:13-19). 그러나 그는 동시에 하나님께서 자신의 고난을 계속 허락하시는 이유를 알지 못하며, 하나님께 왜 자신을 이렇게 대하시는지 질문합니.. 시가서강해 2025.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