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4

팔복강해 1) 심령이 가난한 자

첫째 복: 심령이 가난한 자 (겸손한 마음의 복)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예수님께서 산상수훈에서 선포하신 팔복의 첫 번째 말씀을 함께 묵상하려고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심령이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원리를 밝히는 중요한 말씀입니다. 우리는 세상에서 흔히 부와 권력을 성공의 기준으로 삼지만, 예수님은 정반대의 길을 가르치십니다.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심령이 가난한 자가 가장 복된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에게 천국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마태복음 5:3).심령이 가난하다는 의미 (마태복음 5:3)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심령이 가난하다’는 표현을 우리는 깊이 이해해야 합니다. 여기서 ‘가난하다’는 말은 단순히 물질적으로 가난한 상태..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3. 10.

팔복 서론,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라

천국의 가치관과 참된 행복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예수님께서 산상수훈을 통해 우리에게 주신 팔복을 함께 묵상하려고 합니다. 팔복은 단순한 윤리적 가르침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가치관을 선포하는 선언이며, 천국 백성이 살아가야 할 삶의 태도입니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셔서 선포하신 복음의 핵심은 ‘하나님 나라’였습니다. 하나님 나라는 단순한 공간적 개념이 아니라,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곳, 하나님께서 주인이 되시는 자리입니다. 팔복은 바로 이 하나님 나라가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그 나라의 백성이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쳐 줍니다. (마태복음 5:1-12) 예수님께서는 산 위에서 제자들과 무리들을 향해 이 말씀을 선포하셨습니다. 당시 유대 사회는 율법 중심의 삶을 강조했고, 바..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3. 10.

팔복 설교 시리즈

팔복 설교 시리즈: 하나님의 나라에 속한 자들산상수훈의 시작이자 근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는 팔복입니다. 팔복은 산상수훈의 성으로 들어가는 입구과 같습니다. 가장 핵심적인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1. 서론: 팔복, 천국의 가치관본문: 마태복음 5:1-12예수님이 선포하신 팔복의 배경과 의미세상의 가치관과 천국의 가치관 비교참된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2. 첫째 복: 심령이 가난한 자 (겸손한 마음의 복)본문: 마태복음 5:3‘심령이 가난하다’는 의미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살 수 없는 자들천국을 소유한 자들의 특징3. 둘째 복: 애통하는 자 (회개의 눈물, 위로의 축복)본문: 마태복음 5:4애통함이란 단순한 슬픔이 아닌 회개의 태도죄를 깊이 깨닫고 하나님 앞에서 애통하는 자하나님의 위로와 회복의 은혜4. .. 설교문모음/설교주제 2025. 3. 10.

수요예배 대표기도문 2025년 3월 둘째주

3월 수요 예배 대표기도문2025년 3월 12일 수요예배 기도문 거룩하시며 모든 시간과 계절의 주관자 되시는 하나님,만물을 지으시고 그 섭리를 다스리시는 주님의 손길을 찬양합니다. 봄의 온기가 대지를 감싸고, 연초록 새싹이 가지마다 피어나듯, 우리 영혼에도 생명의 향기를 가득 채우시는 주님의 은혜를 감사드립니다. 오늘, 3월의 두 번째 수요일, 우리의 예배를 주님께 올려드립니다. 지난날의 은혜를 기억하며, 또다시 새롭게 시작되는 하루를 허락하신 주님께 감사와 찬양을 올려드립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잊지 않고, 주어진 시간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게 하옵소서. 그러나 주님, 우리를 돌아보니 온전히 주님의 길을 따르지 못하였음을 고백합니다. 때때로 세상의 유혹에 흔들리고, 사랑해.. 대표기도문 2025. 3. 9.

사순절 기간, 주일 대표기도문 (3월)

3월 주일 대표기도문거룩하시며 영원하신 하나님 아버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만물을 주관하시는 주님의 절대 주권을 찬양합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주님의 손에서 비롯되었으며, 역사의 흐름조차 주님의 섭리 아래 운행됨을 고백합니다. 인간의 한계와 이해를 초월하시는 주님의 계획이 우리 삶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음을 믿으며, 겸손히 주님 앞에 엎드려 예배드리게 하심을 감사드립니다. 주님께서 지으신 세계는 질서와 조화로 가득합니다. 겨울의 침묵을 깨뜨리고 새 생명의 숨결을 불어넣으시는 하나님, 만물을 소생케 하시는 주님의 섭리는 신비와 경이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한낱 피조물에 불과한 우리가 주님의 섬세한 돌보심 안에서 살아가며, 해마다 새 계절을 맞이할 수 있음은 은혜입니다. 봄이 오면 대지는 기지개를 켜듯 푸.. 대표기도문 2025. 3. 9.

욥기 4장 강해 설교

욥기 4장욥기 4장은 욥의 친구 엘리바스가 처음으로 욥에게 말하는 장면입니다. 엘리바스는 욥이 과거에 많은 사람들을 위로했지만, 이제 자신이 고난을 당하자 낙심한다고 지적합니다(욥 4:3-5). 그는 전통적인 인과응보의 논리를 제시하며, 죄 없는 자가 망한 적이 없다고 주장합니다(욥 4:7-8). 또한, 엘리바스는 자신이 본 환상을 언급하며,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의로울 수 없다고 말합니다(욥 4:12-21). 그의 논리는 하나님이 의로우시므로 욥의 고난도 어떤 죄의 결과라는 점을 암시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 속에서 엘리바스는 욥의 고통을 깊이 공감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원리를 욥의 상황에 적용하는 한계를 보입니다.엘리바스의 첫 번째 연설 서론 (욥 4:1-6)인과응보의 논리 제시 (욥 4:7-11).. 시가서강해 2025. 3. 8.

욥기 3장 강해 설교

욥기 3장욥기 3장은 욥이 극심한 고통 속에서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며 절망하는 장면입니다. 그는 자신이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며 탄식하고, 어째서 하나님께서 자신을 살아 있게 두셨는지 질문합니다(욥 3:1-3). 욥은 고난받는 자들이 오히려 죽음을 통해 안식을 얻는다고 생각하며, 자신도 죽음을 바란다고 말합니다(욥 3:11-19). 그는 고통받는 자에게 빛이 주어지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여겨 하나님께 질문하며, 자신의 삶이 끝없는 고통과 두려움 속에 있다고 고백합니다(욥 3:20-26). 이는 욥의 깊은 절망과 고난 속에서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이후 친구들과의 논쟁이 시작되는 계기가 됩니다.욥의 탄식과 생일을 저주함 (욥 3:1-10)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절망 (욥 3.. 시가서강해 2025.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