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판10

[장별 설교] 창세기 8장 강해

창세기 8장 강해창세기 8장은 대홍수 이후 노아와 그의 가족, 그리고 방주에 있던 모든 생물들이 새롭게 시작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장은 하나님의 심판이 끝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냅니다. 특히 방주에서 내려와 하나님께 제사를 드린 장면은 노아가 왜 구원을 받을 수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I. 홍수의 종료와 새로운 시작 (창세기 8:1-5)1. 하나님의 기억과 홍수의 퇴각“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들짐승과 모든 가축을 기억하사” (8:1)하나님께서 노아와 방주에 있는 모든 생물을 기억하시고, 땅 위의 물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하십니다. 하나님은 바람을 일으켜 물을 말리게 하시고, 홍수의 물이 점점 줄어듭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을 잊지 않으시고,.. 모세오경 강해/창세기강해 2024. 8. 26.

[장별 설교] 창세기 7장 강해

창세기 7장 강해창세기 7장은 노아의 방주에 대한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으로, 대홍수가 시작되고 노아와 그의 가족, 그리고 동물들이 방주에 들어가 하나님의 심판에서 구원받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장을 구조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I. 방주로 들어가는 명령과 순종 (창세기 7:1-10) 1. 방주로 들어가라는 명령 “여호와께서 노아에게 이르시되 너와 네 온 집은 방주로 들어가라” (7:1) 하나님은 노아에게 그의 가족과 모든 정결한 짐승들, 그리고 공중의 새들을 방주로 데리고 들어가라고 명령하십니다. 하나님은 노아가 의롭다고 인정하셨고, 그의 순종을 통해 인류와 동물을 보존하시려 하십니다. 이 명령은 하나님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며, 동시에 하나님의 구원이 준비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모세오경 강해/창세기강해 2024. 8. 26.

[장별 설교] 창세기 6장 강해

창세기 6장 강해창세기 6장은 인간의 타락과 그로 인한 하나님의 심판, 그리고 노아의 신실함과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번성은 분명 하나님의 축복이었지만 타락한 인간들은 하나님의 은혜를 악으로 바꾸어 세상은 악의 구렁텅이가 되고 말았습니다. 하나님은 결국 인간들을 심판하시기로 작정하십니다.  심판 중의 은혜가 있듯, 하나님은 세상을 저주하시지만 그 와중에 하나님을 온전히 따르는 노아를 보시고, 그를 통하여 구원 계획을 세우십니다. I.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의 심판 결정 (창세기 6:1-7)1. 인간의 타락과 부패“사람이 땅 위에 번성하기 시작할 때에 그들에게서 딸들이 나니” (6:1) 인간이 땅 위에 번성하면서,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과 결혼하여 타락의 길로 빠지게 됩니다.. 모세오경 강해/창세기강해 2024. 8. 26.

아모스 8장 구조와 강해

아모스 8장 구조 분석아모스 8장은 이스라엘에 대한 네 번째 환상인 여름 과일 바구니의 환상과, 이스라엘의 죄악과 그로 인한 심판에 대해 다룹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여름 과일 바구니의 환상 (8:1-3)이스라엘의 죄악과 그에 따른 심판 (8:4-10)하나님의 말씀의 기근 (8:11-14) 강해1. 여름 과일 바구니의 환상 (8:1-3)본문:"주 여호와께서 또 내게 보이신 것이 이러하니라. 여름 과일 한 광주리라. 그가 가라사대 아모스야 네가 무엇을 보느냐. 내가 가로되 여름 과일 한 광주리니이다.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 백성 이스라엘의 끝이 이르렀으니 내가 다시는 그를 용서하지 아니하리니..."강해:아모스는 여름 과일 바구니의 환상을 봅니다. 여름 과일은 수확기가 끝나가며, 이.. 구약선지서강해 2024. 7. 21.

아모스 7장 구조와 강해

아모스 7장 구조 분석아모스 7장은 아모스가 본 세 가지 환상과, 아모스와 아마샤 제사장의 대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메뚜기의 환상 (7:1-3)불의 환상 (7:4-6)다림줄의 환상 (7:7-9)아모스와 아마샤의 대화 (7:10-17)심판의 세세한 내용이 열거됩니다. 메뚜기 심판, 불의 심판, 다림줄 심판이 이어집니다. 후반분에서는 아마샤와 아모스의 논쟁을 통해 아모스가 자신의 사명을 밝히고 북이스라엘이 멸망한 것을 다시 예언합니다. 강해1. 메뚜기의 환상 (7:1-3)본문:"주 여호와께서 내게 보이신 것이 이러하니라. 왕이 풀을 벤 후 풀이 다시 움돋기 시작할 때에, 주께서 메뚜기를 지으시매, 메뚜기가 땅의 풀을 다 먹은지라. 내가 가로되 주 여호와여 청하건대 사하.. 구약선지서강해 2024. 7. 21.

아모스 4장 구조와 강해

아모스 4장 구조 분석아모스 4장은 이스라엘의 죄악과 그로 인한 심판, 그리고 하나님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회개하지 않는 이스라엘의 모습을 다룹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사마리아의 부유한 여인들에 대한 책망 (4:1-3)이스라엘의 종교적 위선 (4:4-5)하나님의 경고와 재앙 (4:6-11)회개하지 않는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 선언 (4:12-13)이스라엘이 심판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죄악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합니다. 그들은 부유하지만 악을 행하는 자들이었고, 벧엘과 길갈로 가서 악을 저질렀습니다. 하나님의 제사를 모욕하는 자들을 그대로 두지 않을 것입니다. 10절의 '애굽에서 한 것처럼'이란 표현은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은 자기 백성이나 자녀가 아니라 적으로 여기겠다는 선언이십니다. 강해 1.. 구약선지서강해 2024. 7. 21.

요엘서에 나오는 메뚜기의 상징과 의미

요엘서에 나오는 메뚜기의 상징과 의미요엘서에서는 메뚜기가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메뚜기는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로 사용되며, 이스라엘 백성의 회개를 촉구하는 역할을 합니다.1. 메뚜기 재앙의 묘사 (요엘 1:4)"팥중이가 남긴 것을 메뚜기가 먹고, 메뚜기가 남긴 것을 늦 메뚜기가 먹고, 늦 메뚜기가 남긴 것을 황충이 먹었도다." (개역개정) 메뚜기의 종류:팥중이 (gnawing locust)메뚜기 (swarming locust)늦 메뚜기 (crawling locust)황충 (consuming locust)이 네 종류의 메뚜기는 유다 땅을 완전히 황폐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등장합니다. 이는 재앙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메뚜기 떼가 전부를 파괴하는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네 종류는 네 번의.. 구약선지서강해 2024.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