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별 설교] 창세기 3장 강해

케리그마 2024. 8. 26.
반응형

창세기 3장 강해

창세기 3장은 최초의 타락에 대해 다루며, 하나님의 가장 사랑 받는 존재가 되었음에도 순종하지 못하고 거짓된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대한 저주가 담겨 있습니다. 뱀이 어떻게 하와를 유혹하여 타락하고, 타락한 이후 인간들의 삶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생각해 봅시다.

 

I. 유혹과 타락 (창세기 3:1-7)

1. 사탄의 유혹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의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3:1)

사탄은 뱀의 형상을 취해 하와에게 다가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그를 유혹합니다. 이 구절은 사탄이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고 인간의 마음에 의심을 심어주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사탄은 하나님의 진리를 왜곡하여 우리를 유혹하려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굳게 붙들고, 그분의 명령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순종해야 합니다.

 

2. 하와와 아담의 불순종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지라” (3:6)

하와는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고, 아담도 그 열매를 먹습니다. 이로 인해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게 되며, 죄가 세상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 장면은 인간의 자유 의지와 선택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선택이 우리의 운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깊이 깨달아야 하며,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를 따라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합니다.

 

II. 타락의 결과와 하나님의 심판 (창세기 3:8-19)

1. 죄의 자각과 두려움

“그들이 그들의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치마로 삼았더라” (3:7)

아담과 하와는 죄를 짓고 나서 자신들의 벌거벗음을 깨닫고 부끄러움을 느끼며, 무화과나무 잎으로 자신들을 가리게 됩니다. 이는 죄가 인간의 순수함을 파괴하고, 죄책감과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죄는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우리 삶에 두려움과 혼란을 초래합니다. 우리는 죄의 결과를 깊이 인식하고, 회개와 회복을 통해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합니다.

 

2. 하나님의 심판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을 부르시며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 있느냐” (3:9)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를 찾아 그들의 죄를 물으십니다. 아담은 하와를, 하와는 뱀을 탓하며 책임을 회피하려 하지만, 하나님은 각자에게 그들의 죄에 대한 책임을 물으십니다. 하나님은 뱀에게 저주를 내리시고, 하와에게는 출산의 고통을, 아담에게는 땅을 경작하는 수고를 명하십니다. 이 심판은 죄가 가져오는 고통과 어려움을 강조하며, 하나님 앞에서 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가르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기억하며, 죄를 범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합니다.

 

III. 구원의 약속과 회복의 시작 (창세기 3:20-24)

1. 구원의 약속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3:15)

하나님은 뱀에게 저주를 내리시며, 여자의 후손이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라는 구원의 약속을 주십니다. 이 구절은 메시아의 예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질 구속의 계획을 암시합니다. 비록 인간이 타락했지만, 하나님은 구원의 길을 마련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약속을 붙들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될 소망을 가져야 합니다.

 

2. 에덴동산에서의 추방

“여호와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그 사람을 내보내어” (3:23)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를 에덴동산에서 쫓아내시고, 생명나무에 이르지 못하도록 그 길을 막으십니다. 이는 인간이 죄로 인해 하나님과의 완전한 교제를 잃어버렸음을 상징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이 영원히 죄 가운데 머무르지 않도록 하신 은혜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죄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지만, 회개와 믿음을 통해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3. 새로운 시작의 필요성

“아담이 그의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불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머니가 됨이더라” (3:20)

아담은 그의 아내에게 ‘하와’라는 이름을 지어줍니다. 하와는 모든 생명의 어머니가 될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비록 타락했지만, 하나님께서 여전히 생명과 소망을 주시는 분임을 나타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실패와 죄를 경험할 때에도 새로운 시작을 하도록 하십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다시 일어나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창세기 3장의 주요 사건과 주제들을 따라가며, 타락과 그 결과, 그리고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을 강조합니다. 각 단락은 인간의 죄와 책임, 그리고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창세기 전체 강해 목록은 아래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창세기의 각장을 하루 한 편 설교할 수 있도록 주제별로 분류해 정리했습니다. 구조와 설교의 방향은 창세기의 본문을 구조 분석하고 그에 따라 설교하기 편하도록 작성한 것이니 기존의 구조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