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24장 강해설교
설교: "언약의 하나님과 함께하는 백성"
서론
출애굽기 24장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에 맺어진 언약의 정점을 보여주는 장입니다. 하나님은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을 시내산으로 불러 그분과의 언약을 체결하며, 그 과정에서 하나님의 거룩하심, 언약의 중요성, 그리고 하나님의 임재 속에서 예배하는 삶의 원리를 가르쳐줍니다. 24장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가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깊이 묵상할 수 있습니다.
1. 언약 체결의 부르심 (출애굽기 24:1-2)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 나답과 아비후, 그리고 이스라엘 장로 70명을 시내산으로 부르십니다. 이들을 하나님께 선택 받은 자들로 특별히 하나님으 현존에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특권을 받았습니다.
1.1. 하나님께 나아가는 부르심
하나님은 모세에게 가까이 나아오라고 명령하시며, 다른 사람들은 거리를 두고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인간의 죄된 본성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오직 하나님의 부르심과 허락이 있을 때만, 우리는 그분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구약의 시대에는 아무나 하나님께 갈 수 없습니다. 특별히 선택된 자들만이 하나님 앞에 설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신약의 시대에는 누구나 구별 없이 하나님께 곧바로 나아갈 수 있다는 특별함이 존재합니다. 구약과 신약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안다면 신약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큰 기쁨이 아닐 수 없습니다.
1.2. 중재자의 역할
모세는 백성과 하나님 사이의 중재자로 부름받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영원한 중재자로서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잇는 역할을 하시는 것을 예표합니다.
적용점
- 하나님은 우리를 그분의 거룩한 임재로 부르십니다. 그러나 이는 우리의 자격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이루어집니다.
- 우리의 삶에서 중보자로 계신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묵상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묵상 질문
- 나는 하나님의 임재로 부르심을 받은 자로서 그분 앞에 나아가고 있는가?
-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 삶의 중보자로 계심을 얼마나 감사하며 의지하고 있는가?
2. 언약 체결의 준비 (출애굽기 24:3-8)
모세는 백성에게 하나님의 모든 말씀과 율법을 전하고, 백성은 이에 순종하겠다고 응답합니다. 이후 모세는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고, 언약의 피를 뿌림으로 언약을 확증합니다.
2.1.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백성의 순종 (3절)
백성은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모든 것을 준행하겠다고 약속합니다. 이는 언약 관계에서 순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순종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는 온전한 순종을 이루신 예수님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2.2. 제단과 제사의 중요성 (4-6절)
모세는 언약 체결을 위해 제단을 세우고,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상징하는 열두 기둥을 세웁니다. 제사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중요한 예식으로, 피는 속죄와 언약의 확증을 상징합니다.
2.3. 언약의 피 (7-8절)
모세는 번제와 화목제를 드린 후, 피를 백성에게 뿌리며 언약을 확증합니다. 이는 히브리서 9:22에서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는 말씀과 연결되며, 예수님의 보혈을 통해 새 언약이 완성됨을 예표합니다.
적용점
-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그분과의 언약 관계를 신실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예수님의 보혈을 통해 우리는 새 언약의 백성이 되었음을 기억하며, 그 은혜에 감사해야 합니다.
묵상 질문
-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언약 관계를 신실히 지키고 있는가?
- 예수님의 보혈로 맺어진 새 언약을 얼마나 깊이 감사하고 있는가?
3. 하나님의 임재 속에서의 예배 (출애굽기 24:9-11)
모세와 아론, 나답과 아비후, 그리고 70명의 장로들은 시내산에서 하나님을 보며 예배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 속에서 이루어지는 예배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3.1. 하나님을 본 자들 (9-10절)
그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목격하며, 하나님의 발 아래 펼쳐진 청옥 같은 모습에 경외감을 느낍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가 얼마나 놀랍고 거룩한지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3.2. 하나님의 자비 (11절)
하나님은 이들을 죽이지 않으시고, 그들과 함께 교제하십니다. 이는 죄인인 인간이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그분과 교제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적용점
- 예배는 하나님의 임재 속에서 이루어지는 거룩한 교제입니다. 우리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경험하며, 그분과 친밀한 관계를 누릴 수 있습니다.
- 하나님의 자비를 깊이 묵상하며, 감사와 경외로 예배해야 합니다.
묵상 질문
- 나는 예배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고 있는가?
- 하나님의 자비와 은혜에 감사하며 경외하는 마음으로 예배하고 있는가?
4.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 (출애굽기 24:12-18)
하나님은 모세를 다시 산으로 부르셔서 율법과 계명을 주십니다. 이 과정은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보여주는 동시에, 언약 체결의 최종 단계를 확립합니다.
4.1. 하나님의 초대 (12절)
하나님은 모세를 부르셔서 돌판에 기록된 계명을 주십니다. 이는 언약이 단순히 말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록된 말씀으로 확증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4.2. 모세의 순종과 기다림 (13-16절)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산으로 올라가며, 6일 동안 하나님의 영광 속에서 기다립니다. 이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순종과 인내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산 위에 머무는 장면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임재의 깊이를 나타냅니다.
4.3. 하나님의 영광 속에서의 교제 (17-18절)
하나님의 영광이 산 위에 불과 같이 나타나며, 모세는 40일 동안 그분과 교제하며 계시를 받습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깊은 관계를 통해 그분의 뜻을 깨닫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적용점
-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 삶의 기준이며, 우리는 그것을 따라 살아야 합니다.
-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며, 그분과의 깊은 교제를 추구해야 합니다.
- 하나님의 영광을 기다리는 인내와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묵상 질문
- 나는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아가고 있는가?
-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위해 시간을 내어 그분을 기다리고 있는가?
결론
출애굽기 24장은 언약의 확증과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얼마나 거룩하고 중요하며, 그분과 교제하는 삶이 무엇인지 보여줍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새 언약의 백성이 되었으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예배 속에서 그분의 임재를 경험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적용 및 기도 제목
-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언약 관계를 신실하게 지키게 하소서.
- 예수님의 보혈로 맺어진 새 언약을 깊이 감사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 예배 속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며, 경외와 감사로 예배하게 하소서.
-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며, 그분과 깊은 교제를 누리게 하소서.
- 하나님의 영광을 기다리는 믿음과 인내를 갖게 하소서.
'모세오경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교] 구약의 만나 신약의 생명의 떡인 그리스도, 구속사적 관점 (0) | 2024.12.28 |
---|---|
출애굽기 25장 강해설교 (0) | 2024.11.29 |
출애굽기 23장 강해설교 (0) | 2024.11.29 |
출애굽기 22장 강해설교 (0) | 2024.11.29 |
출애굽기 21장 강해설교 (0) | 2024.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