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애굽기 25장 강해설교

케리그마 2024. 11. 29.
반응형

설교: "하나님의 임재를 위한 성막 준비"

서론

출애굽기 25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성막을 지을 것을 명령하시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성막은 하나님의 임재가 백성 가운데 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거룩한 공간입니다. 이 장에서 하나님은 성막의 재료와 설계, 그리고 그 안에 놓일 기구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주십니다. 오늘 설교에서는 출애굽기 25장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임재를 위한 준비와 그분과의 친밀한 교제를 위한 삶에 대해 묵상하고자 합니다.

 

1. 하나님께 드리는 헌물의 의미 (출애굽기 25:1-9)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으로부터 성막을 위한 헌물을 받으라고 명령하십니다. 헌물은 자발적인 마음으로 드려야 하며, 이는 성막 건축에 사용될 재료로 지정됩니다.

1.1. 자발적인 헌물의 중요성 (1-2절)

하나님은 백성에게 자발적으로 헌물을 드릴 것을 요구하십니다. 이는 헌물이 단순한 물질적 기부가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나타내는 표현임을 보여줍니다. 억지로 드리는 것이 아니라, 기쁨으로 드리는 헌물이 하나님께 받아들여집니다.

1.2. 성막 재료의 다양성 (3-7절)

성막에 사용될 재료는 금, 은, 청동, 자색 실, 가죽, 아카시아 나무 등 매우 다양합니다. 이는 모든 사람이 자신이 가진 것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헌물은 각자가 가진 재능과 자원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3.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 (8-9절)

하나님은 백성 가운데 거하시기 위해 성막을 지으라고 명령하십니다. 성막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거룩한 장소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이스라엘과의 언약적 관계를 나타냅니다.

 

적용점

  • 하나님께 드리는 헌물은 우리의 사랑과 헌신의 표현입니다. 우리는 물질뿐 아니라 우리의 시간, 재능, 마음을 기쁨으로 드려야 합니다.
  • 하나님의 임재가 우리의 삶 가운데 거하시도록 우리의 마음을 준비해야 합니다.

묵상 질문

  • 나는 하나님께 자발적이고 기쁜 마음으로 드리고 있는가?
  • 내 삶의 중심에 하나님의 임재가 자리 잡고 있는가?

2. 언약궤: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 (출애굽기 25:10-22)

하나님은 언약궤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지침을 주십니다. 언약궤는 성막의 가장 중심에 놓이며,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합니다.

2.1. 언약궤의 재료와 크기 (10-11절)

언약궤는 아카시아 나무로 만들어지고, 안팎으로 금으로 입혀져야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영광을 나타냅니다. 언약궤는 단순한 상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와 언약의 상징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2.2. 속죄소와 그룹 (17-22절)

언약궤 위에는 속죄소가 놓이고, 두 그룹(천사 형상)이 양쪽에 세워집니다. 속죄소는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를 상징하며, 그룹은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냅니다. 속죄소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만나시는 장소로, 하나님의 말씀과 인도를 받는 중심지가 됩니다.

 

적용점

  • 언약궤는 하나님의 임재와 말씀의 중심성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의 말씀과 임재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속죄소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합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속죄 사역을 통해 하나님과의 교제를 누릴 수 있습니다.

묵상 질문

  • 내 삶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얼마나 중심이 되고 있는가?
  • 예수님의 속죄 사역에 대한 감사가 내 삶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는가?

3. 성막의 기구들: 예배와 교제의 도구 (출애굽기 25:23-40)

하나님은 성막 안에 놓일 다른 기구들, 즉 진설병 상과 등잔대에 대한 지침도 주십니다. 이 기구들은 하나님과의 교제를 위한 중요한 상징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3.1. 진설병 상 (23-30절)

진설병 상은 아카시아 나무로 만들어지고 금으로 입혀져야 했습니다. 이 상 위에는 열두 개의 떡이 놓이며, 이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상징합니다. 진설병은 하나님의 공급하심과 백성의 헌신을 상징합니다.
상은 단순히 음식물이 놓인 장소가 아니라,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언약적 관계를 상징하는 기구였습니다.

3.2. 금 등잔대 (31-40절)

금 등잔대는 성막 안을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빛과 인도를 상징하며, 백성들이 어둠 속에서도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도록 돕습니다. 등잔대의 일곱 등불은 완전함과 충만함을 나타냅니다.
오늘날 우리는 예수님께서 "세상의 빛"이심을 기억하며, 그분의 빛을 따라 살아가야 합니다.

적용점

  • 진설병 상은 하나님의 공급하심에 대한 우리의 감사를 상징합니다. 우리는 매일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를 묵상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 금 등잔대는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빛으로 가득해야 함을 가르칩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빛을 비추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묵상 질문

  • 나는 하나님의 공급하심에 대해 얼마나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 내 삶은 예수님의 빛을 반영하고 있는가?

결론

출애굽기 25장은 하나님의 임재를 위해 성막을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성막의 건축과 기구들은 단순히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적 도구가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하심, 공급하심, 임재하심, 그리고 인도하심을 나타냅니다. 이 말씀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하나님의 임재를 위해 삶을 준비하라는 도전을 줍니다.

적용 및 기도 제목

  1. 하나님의 임재가 내 삶의 중심이 되게 하소서.
  2. 자발적인 헌신과 헌물을 통해 하나님께 기쁨으로 드리게 하소서.
  3. 하나님의 말씀과 임재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삶을 살게 하소서.
  4. 예수님의 속죄 사역에 감사하며, 그분의 빛을 따라가는 삶을 살게 하소서.
  5. 하나님의 공급하심과 은혜를 날마다 묵상하며 감사하게 하소서.

출애굽기 강해목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