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24:1 - 24:12 묵상, 부활의 아침 믿기 어려운 소식
무덤을 찾은 새벽, 살아 계신 주님을 만나다 – 부활의 시작과 기억의 회복
누가복음 24장 1절부터 12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의 첫 장면으로, 가장 어두운 죽음의 현실이 가장 밝은 소망의 빛으로 뒤바뀌는 복음의 절정입니다. 여인들이 무덤을 찾아가면서 겪은 놀라움, 천사들의 메시지를 통한 기억의 회복, 그리고 제자들 가운데 처음으로 부활의 소식을 듣고 무덤을 확인하러 달려간 베드로의 반응까지, 본문은 감정과 믿음, 그리고 기억과 반응이라는 주제 안에서 복음의 새벽을 그려줍니다. 이 본문은 단지 부활이라는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 차원을 넘어, 부활하신 주님을 기억하고, 다시 믿음의 여정을 시작하게 하는 복음의 현장입니다.
빈 무덤 앞의 당황함 – 인간의 한계와 신앙의 출발점
본문은 안식 후 첫날 이른 새벽, 여인들이 준비한 향품을 가지고 예수님의 무덤으로 찾아가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1절). 안식일이 끝난 직후, 이른 새벽이라는 시간대는 아직 어둠이 채 걷히지 않은 때이며, 이 여인들의 내면 상태 또한 어두움과 슬픔으로 가득 차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예수님께 마지막 정성을 다하기 위해 무덤을 찾았지만, 실상은 살아계신 예수님이 아닌 죽은 이를 향한 애도의 발걸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마주한 것은 완전히 예상 밖의 현실이었습니다. “무덤에서 돌이 굴려진 것을 보고”(2절), “들어가니 주 예수의 시체가 보이지 아니하더라”(3절). 이 사건은 단순히 육안으로 확인된 물리적 변화가 아닙니다. 그들의 믿음의 전제가 뒤흔들리는 순간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죽으셨고, 죽은 자는 무덤에 있어야 한다는, 너무도 당연했던 상식이 부활이라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능력 앞에서 무너진 것입니다.
이때 여인들의 반응은 ‘당황하더라’는 것입니다(4절). 헬라어로는 "ἀπορέω(aporeō)"이며, 길을 잃거나, 방향을 잃은 상태를 묘사합니다. 이는 인간 이성의 한계를 드러냅니다. 부활이라는 초월적 사건 앞에서 인간은 처음엔 이해보다 당황하게 됩니다. 신앙은 때로 우리가 다 이해하지 못한 채 시작되는 순종이며, 무덤 앞에서 길을 잃은 그 순간이 믿음의 진짜 출발점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의 삶 속에서도 예상치 못한 일들이 벌어질 때, 길을 잃은 듯한 혼란을 겪게 됩니다. 그러나 주님은 바로 그 당황의 자리에서 역사하십니다. 무덤은 끝이 아니며, 부활은 우리가 이해한 이후에 오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먼저 받아들여야 시작되는 하나님의 역사입니다.
천사의 메시지 – 말씀을 통한 기억의 회복
당황해 있는 여인들에게 두 사람이 등장합니다. “찬란한 옷 입은 두 사람”(4절)은 천사로 해석되며, 이들은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하는 역할을 감당합니다. 여인들이 두려워 얼굴을 땅에 대자, 천사들이 말합니다. “어찌하여 살아 있는 자를 죽은 자 가운데서 찾느냐”(5절). 이는 부활 사건을 설명함과 동시에, 여인들이 갖고 있는 전제 자체를 도전하는 질문입니다. 예수님은 죽은 자가 아니라 살아계신 분이시며, 그분을 찾고자 한다면 무덤이 아닌 말씀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강한 복음적 선언입니다.
이어 천사들은 결정적인 한마디를 더합니다. “그가 살아나셨고 여기 계시지 아니하니라. 갈릴리에 계실 때에 너희에게 어떻게 말씀하셨는지를 기억하라”(6절). ‘기억하라’는 말은 헬라어로 "μνῇσθητε(mnēsthēte)"이며, 단순히 정보를 떠올리라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깊이 새기고 믿음으로 붙들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은 이미 그분의 말씀 속에 반복적으로 예고된 사건이었습니다. 그러나 제자들과 여인들은 그것을 잊고 있었던 것입니다.
기억이 회복될 때, 믿음도 회복됩니다. 신앙은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는 싸움이며, 현실의 무게 앞에서 잊혀진 진리를 되찾는 회복의 여정입니다. 천사들은 이렇게 말씀을 상기시키며, 여인들로 하여금 무덤을 벗어나 복음의 증인으로 나서게 합니다. “그들이 예수의 말씀을 기억하고”(8절), 무덤을 떠나 제자들에게 이 일을 전하러 갑니다.
이 장면은 오늘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다가옵니다. 삶의 무덤 같은 순간들, 실패와 낙심, 불확실성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 자리에서 우리를 다시 일으키시고, 말씀을 통해 기억을 회복시키십니다. 그리고 우리를 다시 복음의 증인으로 세우십니다. 부활은 말씀을 통해 해석될 때, 진정한 믿음의 능력이 됩니다.
믿기 어려운 소식, 그러나 달려가는 믿음
여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돌아가 열한 사도와 다른 모든 이에게 이 소식을 전합니다(9절). 여기서 여인들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됩니다. 막달라 마리아, 요안나, 야고보의 모친 마리아(10절). 이들은 앞서 예수님의 십자가와 장례, 무덤의 모든 여정에 함께 했던 자들입니다. 그들의 신실한 동행이 이제 부활의 증언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제자들의 반응은 뜻밖입니다. “그들의 말이 허탄한 듯이 들려 믿지 아니하나”(11절). ‘허탄하다’는 말은 헬라어로 "λῆρος(lēros)"로, 넋두리나 허황된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부활의 복음은 처음 들을 때에는 너무 놀랍고 충격적이기에, 오히려 진실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이 너무나 확실했기에, 제자들은 여인들의 말을 신뢰하기 어려웠던 것입니다.
하지만 이 가운데, 베드로는 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베드로는 일어나 무덤에 달려가서 굽히려 들여다보니”(12절). 그는 여인들의 증언을 즉시 믿은 것은 아니지만, 그 소식을 확인하려는 믿음의 걸음을 내딛습니다. 신앙은 단지 이해가 아닌, 반응이며, 행동입니다. 베드로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아도, 무덤을 향해 달려갔고, 거기서 예수님의 시신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이 일을 놀랍게 여기며 집으로 돌아가니라.”
베드로의 이 놀람은 믿음의 시작점입니다. 이 놀라움은 후에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게 되는 은혜의 준비가 됩니다. 부활의 복음은 처음에는 허탄한 이야기처럼 들릴 수 있지만, 그 말씀 앞에 한 걸음 내디딜 때 믿음은 시작되고, 그 발걸음 위에 주님은 친히 찾아오십니다.
오늘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의 역사가 너무 커서 이해되지 않을 때, 믿기보다는 멈춰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말씀합니다. 달려가 보라는 것입니다. 아직 의심이 있어도, 아직 모든 것을 다 믿지 못해도, 한 걸음 순종하며 움직일 때 주님은 우리를 그 무덤 밖으로 인도하십니다.
결론
누가복음 24장 1절부터 12절까지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시작되는 서사이며, 신앙의 회복이 새벽처럼 밝아오는 순간입니다. 여인들은 무덤을 찾았지만, 무덤에서 생명을 만났고, 그 생명은 다시 말씀을 통해 기억되었으며, 그 기억은 증언으로 이어졌습니다. 제자들은 처음엔 믿지 못했지만, 한 사람 베드로는 달려갔고, 그 발걸음 위에 부활의 아침이 준비되었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무덤처럼 닫힌 현실 속에 살고 있지만,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그는 여기 계시지 않다. 살아나셨느니라." 이 말씀을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여전히 이해되지 않더라도 한 걸음 순종하십시오. 그 발걸음 위에 부활의 주님께서 우리를 먼저 찾아오실 것입니다. 부활은 새벽에 임하고, 기억을 통해 살아나며, 순종으로 증명됩니다. 이 부활의 복음을 오늘 우리의 삶 속에서 생생히 경험하기를 소망합니다.
매일성경 4월 본문입니다. 일별 묵상 본문을 클릭하시면 각 본문에 따라 묵상을 따라 설교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성경토픽 > 매일성경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24:36 - 24:53 묵상, 승천하신 예수님 (0) | 2025.04.13 |
---|---|
누가복음 24:13 - 24:35 묵상, 엠마오 도상에서 만난 예수님 (0) | 2025.04.13 |
누가복음 23:44 - 23:56 묵상, 태양은 빛을 잃고 (0) | 2025.04.13 |
누가복음 23:26 - 23:43 묵상, 시몬이라는 구레네 사람 (0) | 2025.04.13 |
누가복음 23:1 - 23:25 묵상, 예수와 죄인 바라바 (0) | 2025.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