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0:32-42 묵상 및 설교
제목: 예수님의 신성과 하나님의 사역 증거
요한복음 10:32-42는 예수님께서 자신을 돌로 치려는 유대인들과 대화하며, 자신의 신성과 하나님의 사역을 증언하는 장면입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설명하며, 자신이 행한 선한 일들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강조하십니다. 유대인들은 신성 모독으로 예수님을 정죄하려 하지만, 예수님은 성경을 인용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변호하십니다.
이 과정에서 믿음과 불신의 대립이 분명하게 나타나며, 일부 사람들은 그분을 믿고 따르기 시작합니다. 예수님을 자신의 존재를 명확히 드러내심으로 궁금해 하던 어떤 이들에게 참된 믿음으로 선물로 주셧습니다. 오늘 본문은 예수님의 신적 권위와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구속 사역의 확실성을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 자, 그럼 본문을 따라 더 깊이 묵상의 세계로 들어가 봅시다.
예수님의 선한 일에 대한 변호 (요 10:32-33)
예수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 선한 일을 너희에게 보였거늘 그 중의 어떤 일로 나를 돌로 치려 하느냐”(요 10:32)라고 물으십니다. 이는 그분의 사역이 모두 하나님의 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임을 강조하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수많은 기적과 치유, 가르침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나타내셨지만, 유대인들은 오히려 그분을 신성 모독자로 몰아세웁니다.
이에 유대인들은 예수님을 돌로 치려는 이유가 선한 일이 아니라, 그분이 자신을 하나님과 동등하게 여긴다는 주장 때문이라고 답합니다(요 10:33). 이들의 반응은 예수님의 신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영적 무지를 보여줍니다. 그들은 표면적으로는 율법을 지키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하나님의 사역을 거부하고 있었습니다.
[구약에서 '돌로 치는 형벌'에 해당하는 죄]
구약 율법은 특정한 죄에 대해 돌로 치는 형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동체의 거룩함을 유지하고, 하나님의 법을 어긴 중대한 범죄에 대해 엄중한 경고와 처벌을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형벌은 주로 하나님과의 언약을 심각하게 위반한 경우와 공동체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죄에 적용되었습니다. 주요 예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상 숭배 및 하나님 모독: 우상 숭배(신 13:6-11),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하는 행위(레 24:16)
- 음란 및 성적 타락 : 간음(신 22:22), 근친상간(레 20:11), 동성애(레 20:13), 짐승과의 성적 관계(레 20:15-16)
- 가족 및 공동체 질서 파괴 : 부모를 저주하거나 때리는 자(출 21:15, 레 20:9), 패역한 아들(신 21:18-21)
- 공동체 내 중대한 범죄: 안식일을 어기는 행위(민 15:32-36), 예언자로 위장하여 백성을 미혹하는 자(신 13:1-5)
이러한 형벌 규정은 하나님 중심의 언약 공동체 안에서 영적·도덕적 순결을 유지하기 위한 강력한 제재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처벌이 아닌 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와 경고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성경을 통한 예수님의 변호 (요 10:34-36)
예수님은 유대인들의 비난에 대해 성경을 인용하여 자신을 변호하십니다. “너희 율법에 기록된 바 내가 말하기를 너희는 신이라 하지 아니하였느냐”(요 10:34). 예수님은 시편 82편 6절을 인용하여, 인간 지도자들도 때때로 ‘신들’로 불린 적이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특정한 사명을 부여하신 사람들에게 신적인 권위를 부여하셨다는 사실을 가리킵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말하는 것이 성경에 비추어볼 때 전혀 모순이 아님을 설명하십니다(요 10:35-36). 그분은 하나님께로부터 보내심을 받아 세상에 오셨으며,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사역하고 계심을 강조하십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의 신적 사명이 성경에 근거한 것임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행한 일들을 통한 증거 (요 10:37-38)
예수님은 자신의 사역이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십니다. “만일 내가 내 아버지의 일을 행하지 아니하거든 나를 믿지 말려니와”(요 10:37). 예수님은 자신이 행한 일들이 하나님의 능력과 뜻을 나타내는 증거임을 지적하십니다. 이는 단순한 말이 아닌, 실제로 눈에 보이는 기적과 변화로 드러난 증거들입니다.
예수님은 “내가 행하거든 나를 믿지 아니할지라도 그 일은 믿으라”(요 10:38)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믿음을 갖지 못하는 자들에게조차도 그분의 사역이 하나님의 역사임을 받아들이라는 권면입니다. 예수님은 아버지와 자신이 하나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시며, 하나님의 구원 사역이 그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십니다.
유대인들의 반응과 예수님의 피신 (요 10:39-40)
예수님의 말씀에 격분한 유대인들은 다시 그분을 체포하려 시도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들의 손에서 피하여 요단강 건너편으로 가십니다(요 10:39-40). 이는 그분의 때가 아직 이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예수님의 사역이 계속될 것임을 암시합니다.
요단강 건너편은 세례 요한이 처음으로 사역했던 장소로, 예수님께서는 이곳에서 다시 사람들을 만나십니다. 이는 그분의 사역이 계속 확장되고 있음을 상징하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중단 없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많은 사람들의 믿음 (요 10:41-42)
예수님이 요단강 건너편으로 가시자 많은 사람들이 그분께 나아와 믿음을 갖게 됩니다. 그들은 세례 요한이 행한 모든 증언이 진리였음을 깨닫고, 예수님을 메시아로 받아들입니다(요 10:41). 이 장면은 참된 믿음이 말씀과 증거를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사람들은 예수님의 행하신 일들과 요한의 증언을 통해 그분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확신하게 됩니다. “거기서 많은 사람이 예수를 믿으니라”(요 10:42). 이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이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열매를 맺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결론 - 신성과 믿음의 확증
요한복음 10:32-42는 예수님께서 자신의 신성과 하나님의 사역을 증언하며, 불신에 가득 찬 유대인들과 대립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성경과 행하신 일들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밝히셨으며, 믿음을 거부하는 자들과 믿는 자들의 대조를 보여주십니다.
오늘날 우리도 예수님의 말씀과 사역을 통해 그분의 신성과 하나님의 사랑을 확신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었으며, 그분을 믿고 따르는 자들은 영원한 생명을 얻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음성에 귀 기울이고, 그분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믿음의 삶을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생명의 삶] 2025년 2월 묵상 본문입니다. 묵상 본문을 클릭하시면 각 본문에 따라 묵상을 따라 설교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성경토픽 > 생명의삶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11:17-35 묵상 및 설교 (0) | 2025.02.09 |
---|---|
요한복음 11:1-16 묵상 및 설교 (0) | 2025.02.09 |
요한복음 10:22~31 묵상 및 설교 (0) | 2025.02.09 |
요한복음 10:11~21 묵상 및 설교 (0) | 2025.02.09 |
요한복음 10:1~10 묵상 및 설교 (0) | 2025.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