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83

히브리서 11장 설교, 아벨의 믿음

아벨의 믿음: 하나님께 올려드린 더 나은 제사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히브리서 11장에 나타난 믿음의 영웅들 중 첫 번째로 언급된 인물, 아벨에 대해 깊이 묵상하고자 합니다. 히브리서 11장 4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림으로 의로운 자라 하시는 증거를 얻었으니 하나님이 그의 예물에 대하여 증언하심이라. 그가 죽었으나 그 믿음으로서 아직도 말하느니라.” 이 한 구절 속에는 아벨의 믿음과 삶, 그리고 그의 믿음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중요한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1. 아벨의 믿음이란 무엇인가?히브리서 11장은 믿음을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라고 정의합니다(히 11:1). 아벨은 이 정의에 정확히 부합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성경인물 2025. 1. 31.

히브리서 11장 설교, 믿음이란 무엇인가?

히브리서 11장에 나타난 믿음: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는 삶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히브리서 11장을 중심으로, 히브리서가 강조하는 믿음의 본질에 대해 깊이 묵상해보고자 합니다. 히브리서는 시련과 고난 속에서 흔들리는 그리스도인들을 향해 쓰여진 편지입니다. 이 서신은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고 흔들림 없이 믿음의 경주를 달리도록 격려하며, 믿음이란 무엇인지 구체적인 삶의 사례들을 통해 설명합니다. 특히 히브리서 11장은 믿음의 본질과 그 열매를 우리에게 선명하게 보여주는 말씀입니다.1. 믿음이란 무엇인가? (히 11:1-3)히브리서 11장은 믿음을 이렇게 정의합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히 11:1). 여기서 "바라는 것들"이란 하나님의 약속을 의미합니다. .. 성경인물 2025. 1. 31.

성경에서 말하는 '나그네'와 '순례자'의 의미

성경에서 말하는 '나그네'와 '순례자'의 의미성경에서 '나그네'와 '순례자'는 단순히 이방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이 이 땅에서 잠시 머물며 영원한 본향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하나님의 백성의 정체성, 삶의 자세, 영적 여정, 그리고 궁극적인 소망을 나타냅니다.1. 나그네와 순례자의 정체성성경에서 하나님의 백성은 '나그네'와 '순례자'로 불리며, 이는 그들의 정체성과 삶의 목적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히브리서 11장은 믿음의 영웅들을 예시로 들어, 이들이 나그네와 순례자로서 어떻게 믿음으로 살아갔는지를 설명합니다.1. 믿음으로 나그네 된 아브라함히브리서 11:8-10은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따라 믿음으로 약속의 땅으로 나.. 성경토픽 2025. 1. 30.

히브리서 11장의 믿음의 인물 설교

히브리서 11장의 믿음의 인물히브리서 11장은 믿음으로 살아간 인물들을 통해 성도들이 믿음의 여정을 걸어가도록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히브리서 전체의 교리적 측면에서는 중심이 아니지만, 믿음으로 살아가는 증인들의 삶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장입니다.  각 인물을 중심으로 설교를 하기 위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1. 아벨: 참된 예배의 본질 (히브리서 11:4)주제: 믿음으로 드리는 예배가 하나님께 기쁨이 된다.아벨은 믿음으로 더 나은 제물을 하나님께 드렸고, 그 예배가 하나님께 받아들여졌습니다(창세기 4:4).예배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믿음과 순종의 표현이어야 함을 강조합니다.적용: 우리가 드리는 예배가 믿음과 순종으로 드려지고 있는지 점검합니다.본문 요점: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 성경인물 2025. 1. 30.

창세기 5장의 족보를 통해 주목해야 할 주제

창세기 5장의 족보를 통해 주목해야 할 주제1. 하나님의 창조 계획과 인류의 연속성창세기 5장은 아담에서 노아에 이르는 계보를 통해 인류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목적을 충실히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창조 때 인간을 자신의 형상으로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번성하고 땅을 다스릴 권세를 주셨습니다(창 1:28). 족보는 이러한 하나님의 명령이 한 세대를 넘어 다음 세대까지 전달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세대 간의 연속성족보는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 아닙니다. 아담으로부터 시작해 노아로 이어지는 계보는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 역사의 연속성을 보여줍니다.이 족보는 특히 아담이 창조주의 형상을 가지고 있었음을 강조하며(창 5:1), 그 형상이 어떻게 후손들에게 전달되는지를 나타냅니다.그러나 아담 이후.. 성경토픽 2025. 1. 29.

구약의 주요 절기 요약

구약의 주요 절기 요약유월절 (Passover)날짜: 니산월 14일 (레위기 23:5)유월절은 히브리어로 "페사흐"라 불리며, "넘어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집트에서의 열 번째 재앙 때, 어린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집을 하나님께서 넘어가신 사건을 기념합니다. 유월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의 종살이에서 해방된 날을 기억하며,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되새기는 절기입니다. 유월절 의식에는 흠 없는 어린 양의 희생, 누룩 없는 무교병, 쓴 나물을 먹는 전통이 포함되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예표합니다.무교절 (Feast of Unleavened Bread)날짜: 니산월 15일~21일 (레위기 23:6-8)유월절 다음 날부터 시작되는 무교절은 7일간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으며, 이스라.. 성경토픽 2025. 1. 29.

민수기 19장 강해 설교

민수기 19장 강해 설교민수기 19장은 정결 의식에 사용되는 붉은 암송아지의 제물 규례와 이를 통해 부정함에서 정결함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다룹니다. 붉은 암송아지를 희생시켜 재를 남기고, 그 재를 물과 섞어 정결 물로 만듭니다. 죽음으로 인해 부정하게 된 자는 이 물로 자신을 씻어야만 정결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정한 상태에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을 열어주시며, 정결과 거룩함에 대한 하나님의 기준을 강조하십니다. 율법의 수동적이기는 하지만 자신들의 죄를 정결할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은 측면이라할 수 있습니다.  민수기 19장 구조 분석붉은 암송아지 희생 규례 (1-10절)죽음으로 인한 부정함과 정결법 (11-16절)정결 물 사용 규정 (17-22절) 붉은 암송아지 희생 규례 (민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9.

민수기 18장 강해 설교, 레위인의 직무와 책임

민수기 18장 강해 설교민수기 18장은 제사장과 레위인의 직무와 책임, 그리고 그들의 생계를 위한 규정을 다룹니다. 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성소와 제단의 제사장 직무를 맡기시며, 레위인을 그들의 돕는 자로 세우십니다. 또한 제사장들이 받을 몫으로 거룩한 헌물과 첫 열매, 그리고 십일조를 규정하셨습니다. 이를 통해 하나님은 제사장과 레위인이 온전히 성막 사역에 헌신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러나 제사장은 성소의 거룩한 의무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제사장의 직무는 백성 전체를 위한 대리적 책임임을 강조합니다. 민수기 18장 구조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1-7절)레위인의 직무와 보상 (8-20절)레위인의 십일조 규정 (21-24절)제사장의 십일조 사용 규정 (25-32절) 제사장의 직무와 책임 (민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9.

민수기 17장 강해 설교

민수기 17장 강해 설교민수기 17장은 하나님께서 아론의 제사장직을 확증하시기 위해 열두 지파의 지팡이를 모아 증거궤 앞에 두고, 하나님이 택하신 사람의 지팡이에 싹이 나게 하신 사건을 다룹니다. 다음 날 레위 지파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나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음으로, 하나님이 아론과 그의 자손을 제사장으로 세우셨음을 확인하셨습니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원망과 반역을 잠재우고, 하나님의 권위를 드러내셨습니다. 민수기 17장 구조하나님께서 지팡이를 통한 권위 확인 명령 (민 17:1-5)각 지파 지도자들의 지팡이 제출 (민 17:6-7)아론의 지팡이에 나타난 표적 (민 17:8-9)지팡이를 증거로 보존하라는 명령 (민 17:10-11)백성의 두려움과 반응 (민 17:12-13) 1. 하나님께서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민수기 16장 강해 설교: 하나님의 권위와 중보자의 사역

민수기 16장 강해 설교: 하나님의 권위와 중보자의 사역민수기 16장은 고라, 다단, 아비람이 모세와 아론의 권위에 도전하여 일어난 반역 사건을 다룹니다. 이들은 250명의 족장들과 함께 모세와 아론을 비난하며, 자신들도 거룩하다 주장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반역에 진노하셨고, 고라와 추종자들은 땅이 갈라져 생매장되거나 불에 타 죽는 심판을 받았습니다. 이후 백성들이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자, 하나님은 전염병을 보내시지만, 아론이 향로를 들고 중보하여 백성을 구합니다. 민수기 16장 구조고라와 족장들의 반역 (1-3절)모세와 아론의 기도와 하나님의 응답 (4-11절)반역자들에 대한 경고와 분리 (12-21절)고라와 추종자들의 심판 (22-35절)백성의 원망과 전염병 (36-45절)아론의 중보로 백성 ..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민수기 15장 강해 설교

민수기 15장 강해민수기 15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지켜야 할 제사 규례와 우발적인 죄에 대한 속죄 규례를 다룹니다. 하나님께 드릴 곡식과 포도주의 소제, 전제 규정을 비롯해 거주민이든 외국인이든 동일한 법을 적용받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또한 고의적인 죄와 우발적인 죄를 구분하며, 고의적인 죄는 하나님의 말씀을 경멸하는 행위로 간주되어 심판받아야 한다고 명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안식일을 범한 자의 처벌 사례와 옷단의 술을 통해 하나님의 계명을 기억하라는 명령으로 마무리됩니다. 민수기 15장 구조가나안 정착 후 제사 규례 (1-16절)떡과 전제의 헌물 규례 (17-21절)우발적인 죄에 대한 속죄 규례 (22-29절)고의적인 죄와 그 심판 (30-31절)안식일 범죄 사례 (32-36절)옷단.. 모세오경 강해 2025.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