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83

로마서 12장 강해 하나님께 드리는 거룩한 삶

하나님께 드리는 거룩한 삶12장부터는 본격적으로 삶에 대한 이야기가 강조됩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는 광범위하게 설명해 줍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저희에게도 동일한 주제로 다루고 있으니 좋은 기준점이 될 것입니다.거룩한 산 제사로 드리는 삶(롬 12:1-2)바울은 로마서 12장에서 신앙인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강조하며, 먼저 우리의 몸을 하나님께 거룩한 산 제사로 드릴 것을 권면합니다(롬 12:1).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신 크신 자비에 대한 올바른 반응으로, 신자는 자신의 삶을 하나님께 완전히 헌신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헌신은 단순한 의식적 행위가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실제적 행위를 포함합니다.바울은 또한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11장 강해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의 구원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의 구원로마서 11장 만큼 많은 논쟁을 일으킨 장은 없어 보일 정도입니다. 육적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본질은 아닙니다. 자, 주의를 기울여 로마서 11장으로 들어가 봅시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으심(롬 11:1-10)바울은 로마서 11장에서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면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버리셨느냐?" 이에 대해 그는 단호하게 "그럴 수 없느니라"고 답변합니다(롬 11:1). 바울 자신도 이스라엘 사람이며,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그의 백성을 돌보신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구약의 엘리야 사건을 예로 들며(롬 11:2-4), 당시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바알에게 무릎을 꿇었지만, 하나님께서 7천 명의 신실한 자들을 남겨두셨음을 강조합니다..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10장 강해 믿음으로 얻는 의와 구원의 길

믿음으로 얻는 의와 구원의 길로마서 10장은 선교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복음 전파에 있어서 바벨론 포로에서의 귀한 모티브가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구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살펴 봅시다. 이스라엘을 위한 바울의 간절한 기도(롬 10:1-4)바울은 이스라엘을 향한 자신의 마음을 다시 한번 표현하며, 그들이 구원을 받기를 간절히 원한다고 말합니다(롬 10:1). 그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향한 열심은 있으나 올바른 지식을 따라 하지 않았음을 지적합니다(롬 10:2). 즉, 그들은 하나님의 의를 알지 못하고 자기 의를 세우려고 노력했으며, 하나님의 의에 복종하지 않았습니다(롬 10:3). 바울은 그리스도가 율법의 마침이 되어 믿는 자마다 의롭게 됨을 강조합니다(롬 10:4). 이는 구원이 율법..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9장 강해 하나님의 주권과 선택

하나님의 주권과 선택이스라엘을 향한 바울의 애통함(롬 9:1-5)바울은 로마서 9장에서 이스라엘을 향한 깊은 애통함을 표현하며 시작합니다. 그는 자신이 마음에 큰 근심이 있고 끊임없는 고통이 있다고 말하며(롬 9:2), 심지어 자신의 구원을 포기하고서라도 동족 이스라엘이 구원받기를 원한다고 고백합니다(롬 9:3). 이는 바울이 유대인으로서 자신의 민족이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를 거부하고 있는 현실을 바라보며 가진 깊은 슬픔을 보여줍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하나님의 양자됨과 영광과 언약과 율법과 예배와 약속들이 주어졌으며(롬 9:4), 조상들도 그들에게 속해 있습니다. 또한 메시아이신 그리스도도 육신으로는 그들에게서 나셨다고 강조합니다(롬 9:5).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8장에서의 성령의 역할

로마서 8장에서의 성령의 역할로마서 8장은 성령이 신자의 삶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강조하며,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유, 변화, 확신, 중보, 그리고 최종적인 영광을 설명합니다. 로마서 전체의 맥락에서 보면, 바울은 1-7장에서 인간의 죄성과 율법의 한계를 다루며, 9-16장에서 신자의 실천적 삶과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를 논의합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로마서 8장은 구원의 확신과 성령의 사역을 핵심적으로 다루며, 신자가 죄와 사망에서 해방되고 하나님의 자녀로 확신을 얻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1. 죄와 사망의 법에서 해방(롬 8:1-4)바울은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롬 8:1)라고 선언하며, 신자가 율법과 죄의 정죄에서 자유롭게 되었음을 밝힙니다. 이는 ..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8장 강해 성령 안에서 누리는 자유와 승리

성령 안에서 누리는 자유와 승리성령 안에서의 생명과 자유(롬 8:1-11)로마서 8장은 복음의 정점으로, 신자가 성령을 통해 죄와 사망의 법에서 자유를 얻었음을 선포합니다. 바울은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라고 선언하며(롬 8:1), 신자가 율법의 정죄에서 해방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율법이 죄를 깨닫게 하지만 구원의 능력은 없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참된 자유를 얻을 수 있습니다(롬 8:2).율법이 연약하여 이루지 못한 것을 하나님께서 이루셨습니다. 하나님은 자기 아들을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보내어 우리 죄를 속죄하셨고, 이를 통해 율법의 요구가 우리 안에서 이루어지게 하셨습니다(롬 8:3-4). 이는 율법이 아닌 성령 안에서 행하는 자들에게 ..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로마서 7장 강해 율법과 은혜 안에서의 자유

율법과 은혜 안에서의 자유율법과의 관계(롬 7:1-6)바울은 로마서 7장에서 율법과 신자의 관계를 설명하며 시작합니다. 그는 율법이 살아 있는 자에게만 적용된다고 말합니다(롬 7:1). 이 원리를 결혼 관계에 빗대어 설명하며, 한 여자가 남편이 살아 있을 때는 율법에 매이지만 남편이 죽으면 율법에서 자유롭게 된다고 비유합니다(롬 7:2-3). 이처럼 우리는 율법에 매여 있었으나,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우리가 율법에 대해 죽었기에 더 이상 율법의 지배를 받지 않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고 선언합니다(롬 7:4).율법 아래에 있을 때 우리는 죄의 욕망을 따라 살았으며, 그 결과는 사망이었습니다(롬 7:5). 그러나 이제 우리는 율법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영적 삶을 살아가게 되었습니다(롬 7:6). 이는 .. 바울서신강해 2025.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