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64

십자가 시리즈 2) 마태복음 26장 36-46절 겟세마네의 기도

겟세마네의 기도: 인간 예수의 고뇌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고난주간 둘째 날에 우리는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예수님의 기도를 함께 묵상하려고 합니다. 마태복음 26장 36절부터 46절까지의 말씀은 예수님의 고난 가운데 가장 내밀하고도 비통한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이 겟세마네의 기도는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앞두고 경험하신 깊은 내적 고뇌와, 동시에 아버지의 뜻을 온전히 받아들이시는 신적 순종의 절정을 보여줍니다. 오늘 우리는 이 본문을 통해 예수님의 인성, 신성과 구속사적 사명을 더욱 분명히 이해하게 될 것이며, 고난주간을 살아가는 우리 자신을 이 말씀 앞에 정직하게 세우게 될 것입니다.고통의 무게 앞에서 주저앉으신 예수님 (마태복음 26:36-38)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겟세마네라 불리는 곳으로 가셨습니다. .. 성경토픽/절기묵상 2025. 3. 28.

십자가 시리즈 1) 이사야 53장 3-5절

예언의 시작: 메시아의 고난 예고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고난주간의 첫날을 맞이하면서 우리 주님의 십자가 여정을 함께 묵상하려 합니다. 그 여정의 시작은 단지 골고다 언덕에서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수백 년 전, 선지자 이사야를 통해 하나님께서 이미 예비하시고 선포하신 메시아의 고난이 있었습니다. 이사야 53장 3절부터 5절까지의 말씀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예언하는 대표적인 본문입니다. 오늘 이 본문을 통해, 예수님의 고난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그 고난을 통해 우리가 얻게 된 복음의 은혜가 무엇인지 성경신학적 통찰을 나누고자 합니다.멸시받고 버림받은 자 (이사야 53:3)“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사 53:3) 여기서 우리는 메시아의 .. 성경토픽/절기묵상 2025. 3. 28.

민수기 21장 강해 설교

민수기 21장 강해민수기 21장 요약 이스라엘이 가나안 왕 아랏을 물리치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백성은 다시 불평하다가 불뱀의 심판을 받고, 모세의 중보로 놋뱀을 바라본 자들이 살아납니다. 이후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인도하심 아래 여러 지역을 지나 모압 평지에 이르고, 아모리 왕 시혼과 바산 왕 옥을 물리쳐 가나안 정복의 기반을 다집니다.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 승리가 중심을 이룹니다.민수기 21장 구조분석가나안 왕 아랏과의 전쟁과 승리 (1-3절)불평하는 백성과 불뱀의 심판 (4-7절)놋뱀과 하나님의 구원 (8-9절)여정을 따라 부른 노래와 행진 (10-20절)아모리 왕 시혼과의 전쟁과 승리 (21-32절)바산 왕 옥과의 전쟁과 승리 (33-35절)민수기 21장에 주목할 단어와 주제민수기.. 모세오경 강해 2025. 3. 28.

민수기 20장 강해 설교

민수기 20장 강해민수기 20장 요약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 이르러 미리암이 죽고 묻힙니다. 백성들은 물이 없어 모세와 아론을 원망하고, 여호와께서 바위에서 물을 내라고 명하십니다. 그러나 모세는 분노하여 지팡이로 바위를 두 번 쳤고, 그로 인해 여호와께서 그들의 가나안 입성을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에돔 왕은 이스라엘의 통과 요청을 거절합니다. 이후 호르산에서 아론이 죽고 엘르아살이 제사장 직분을 이어받습니다.민수기 20장 구조분석미리암의 죽음 (1절)물이 없어 백성이 원망함 (2-5절)바위에서 물을 내라는 명령과 모세의 불순종 (6-13절)에돔의 거절과 우회 (14-21절)아론의 죽음과 엘르아살의 제사장 위임 (22-29절)민수기 20장에 주목할 단어와 주제민수기 20장은 이스라엘의 불신과 지도자의 불.. 모세오경 강해 2025. 3. 28.

성경에서 곰의 상징과 비유

성경에서 곰이 상징하는 본능적 위험과 하나님의 주권적 메시지곰은 성경에서 자주 등장하는 동물은 아니지만, 등장할 때마다 강렬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곰은 대개 파괴적인 본능, 잔인한 공격성, 혹은 감당하기 어려운 위협의 이미지로 사용되며, 때로는 하나님의 심판이나 인간의 무지함을 드러내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히브리어로 곰은 'דֹּב(dov)'이며, 헬라어로는 'ἄρκτος(아르크토스)'라고 불립니다. 이 글에서는 성경 속 곰의 상징을 주제별로 정리하고, 그 안에 담긴 신학적 의미를 묵상의 언어로 풀어갑니다.맹렬하고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의 상징곰은 사자의 위엄이나 여우의 간교함과는 또 다른 종류의 위협을 상징합니다. 곰은 조용히 다가와 갑작스럽게 공격하는 존재이며, 성경에서도 종종 맹렬하고 통제.. 성경토픽 2025. 3. 28.

성경에서 여우 상징

성경에서 여우가 상징하는 교활함과 경계, 그리고 회복에 대한 통찰성경 속에서 여우는 자주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 상징은 분명합니다. 여우는 교활함, 파괴적인 간계, 그리고 작은 죄와 방심의 틈을 상징하며, 때로는 인간 사회와 영적 현실에서 경계해야 할 존재로 그려집니다. 히브리어 'שׁוּעָל(슈알)'은 여우를 의미하며, 헬라어로는 'ἀλώπηξ(알로펙스)'라 하여, 고대 문화에서도 여우가 간사함과 기민함의 상징이었음을 보여 줍니다. 이 글은 성경 속 여우의 상징을 주제별로 나누고, 묵상적 에세이와 함께 그 깊이를 더합니다.간교함과 위선의 상징예수님께서 헤롯을 가리켜 여우라고 말씀하신 장면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조롱이 아니라, 헤롯의 정치적 술수와 외식적인 신앙 태도를 고발하신 것입니다 (누가복음 .. 성경토픽 2025. 3. 28.

성경에서 사자 상징

성경에서 사자가 상징하는 신적 권위와 내면의 긴장사자는 성경 전체에서 강렬한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권능, 그리스도의 위엄과 구속, 악의 위협과 심판의 형상까지, 사자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히브리어로 사자는 'אַרְיֵה(아리에)' 또는 'לָבִיא(라비)', 헬라어로는 'λέων(레온)'이라 불리며, 문맥에 따라 거룩과 파괴, 보호와 위협의 양면을 함께 지닙니다. 이 글은 성경 속 사자 상징을 주제별로 정리하고, 신학적 의미와 함께 고백적 묵상을 더합니다.  하나님의 권능과 심판의 상징사자는 구약에서 하나님의 공의와 능력을 상징하는 존재로 자주 등장합니다. 호세아 선지자는 하나님께서 범죄한 이스라엘을 사자같이 덮쳐서 찢으시겠다고 말합니다 (호세아 5:14). 이는 하나님의.. 성경토픽 2025. 3. 28.

성경에서 가축 상징

성경에서 가축이 상징하는 하나님의 뜻과 인간의 고백성경에서 가축은 단순한 재산이나 생계 수단이 아닙니다. 가축은 하나님의 공급과 복, 제사의 재물, 인간의 죄와 구속의 징표로서 다층적 의미를 지닙니다. 히브리어 'בְּהֵמָה(베헤마)'는 일반적으로 짐승 또는 가축을 의미하고, 그리스어 'κτῆνος(크테노스)'도 유사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 글은 가축이 상징하는 성경적 의미를 주제별로 정리하고, 그 속에 담긴 신학적 함의와 묵상의 여지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하나님의 복과 공급의 상징가축은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재산의 핵심이자, 하나님의 축복을 나타내는 표징이었습니다. 아브라함과 야곱은 많은 가축을 소유함으로써 하나님의 복을 받았다는 인정을 받았습니다 (창세기 13:2, 30:43).욥도 하나님의 .. 성경토픽 2025. 3. 28.

폭풍의 성경적 상징과 주제별 묵상

폭풍의 성경적 상징과 주제별 묵상성경에서 폭풍은 단순한 기후 현상을 넘어, 하나님의 임재, 심판, 보호, 그리고 인간 내면의 혼란과 하나님의 구원의 메시지를 동시에 담는 복합적인 상징입니다. 이 글에서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어를 통해 폭풍의 본래 의미를 살피고, 성경 각 권에서 폭풍이 어떻게 신학적 의미를 띠고 있는지를 주제별로 조망하며 묵상의 글로 확장합니다.하나님의 주권적 임재와 거룩한 두려움히브리어로 폭풍은 ‘סוּפָה(수파)’ 혹은 ‘סְעָרָה(스아라)’라 하며, 이는 회오리바람이나 강한 바람을 의미합니다. 헬라어에서는 ‘λαιλαψ(라이랍스)’라는 단어가 사용되며, 이는 격렬하고 갑작스러운 폭풍을 뜻합니다.욥기에서 하나님은 폭풍 가운데서 욥에게 말씀하십니다 (욥기 38:1). 이는 하나님의.. 성경토픽 2025. 3. 27.

번개의 성경적 상징과 주제별 묵상

번개의 성경적 상징과 주제별 묵상하늘을 가르며 터지는 번개는 단지 자연 현상이 아닙니다. 성경에서 번개는 하나님의 임재와 능력, 심판과 계시, 그리고 영적 전쟁의 한복판에서 드러나는 신적 권위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원어를 통해 번개의 본래 의미를 살피고, 성경 각 권에서 드러나는 번개의 상징을 주제별로 정리하며, 묵상과 고백의 언어로 그 뜻을 풀어갑니다.하나님의 임재와 영광의 표징히브리어로 번개를 뜻하는 단어는 'בָּרָק(바라크)'이며, 헬라어로는 'ἀστραπή(아스트라페)'입니다. 이 단어들은 하나님의 임재가 물리적이고 가시적으로 드러날 때 자주 사용됩니다.출애굽기에서는 시내산에 하나님이 강림하실 때 천둥과 번개가 함께 나타났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무형이 아닌.. 성경토픽 2025. 3. 27.

매일성경 본문 2025년 4월

매일성경 본문 2025년 4월 4월 1일 누가복음 18:1 - 18:144월 2일 누가복음 18:15 - 18:304월 3일 누가복음 18:31 - 18:434월 4일 누가복음 19:1 - 19:104월 5일 누가복음 19:11 - 19:274월 6일 누가복음 19:28 - 19:484월 7일 누가복음 20:1 - 20:184월 8일 누가복음 20:19 - 20:404월 9일 누가복음 20:41 - 21:44월 10일 누가복음 21:5 - 21:194월 11일 누가복음 21:20 - 21:284월 12일 누가복음 21:29 - 21:384월 13일 누가복음 22:1 - 22:234월 14일 누가복음 22:24 - 22:384월 15일 누가복음 22:39 - 22:534월 16일 누가복음 22:54 - 2.. 성경토픽/매일성경묵상 2025.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