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08

욥기 14장 강해 설교

욥기 14장인생이 뭘까요? 나이들어 보니 참 짧고 허무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허무는 세속적 허무는 아닙니다. 인간의 한계에서 오는 핍적이 아닐까요? 그렇기 때문에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갈망하는 것이고. 하여튼 오늘 14장에서는 자신의 삶에 대한 원초적 질문을 던집니다. 깊이 들어가 묵상해 봅시다. 욥기 14장에서 욥은 인간의 연약함과 짧은 생애를 강조하며, 하나님께서 왜 인간을 이처럼 심판하시는지를 질문합니다(욥 14:1-6). 그는 나무조차도 다시 살아날 희망이 있지만, 인간은 죽으면 다시 살지 못한다며 절망합니다(욥 14:7-12). 이어서 욥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극히 연약한 존재로 창조하셨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토록 엄격하게 심판하시는지를 탄식합니다(욥 14:13-17). 마지막으로 그는 인간의 ..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3장 강해 설교

욥기 13장욥은 억울할까요? 우리는 압니다. 하지만 친구들은 욥의 말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우리가 욥을 읽을 때는 천상에서 일어난 하나님가 사단과의 대화를 알고 있기 때문이죠. 자 이제 13자에서 욥의 이야기를 들어 봅시다. 욥기가 왜 지혜서인지는 이 장을 통해서 잘 보여줍니다. 욥기 13장에서 욥은 자신의 억울함을 더욱 강하게 주장하며, 친구들의 잘못된 논리를 비판합니다(욥 13:1-12). 그는 친구들이 하나님을 대신하여 변호하려 하지만, 그들의 말이 거짓되고 편협하다고 말합니다. 욥은 자신이 하나님과 직접 변론하기를 원하며, 자신의 무죄를 주장합니다(욥 13:13-19). 그러나 그는 동시에 하나님께서 자신의 고난을 계속 허락하시는 이유를 알지 못하며, 하나님께 왜 자신을 이렇게 대하시는지 질문합니..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2장 강해 설교

욥기 12장욥기 12장에서 욥은 친구들의 조언을 조롱하며, 자신도 그들만큼 지혜가 있음을 강조합니다(욥 12:1-3). 그는 고난당하는 의인이 조롱받고 악인이 평안한 현실을 지적하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깊은 고민을 토로합니다(욥 12:4-6). 욥은 하나님이 모든 만물을 주관하시며, 피조세계 속에서도 하나님의 지혜와 능력이 나타남을 말합니다(욥 12:7-12). 이어서 그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을 인정하며, 하나님께서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시고 통치하신다고 강조합니다(욥 12:13-25). 욥은 인간의 지혜와 통찰이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 앞에서 무력하다고 고백하면서도, 자신이 겪는 고난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여전히 의문을 품고 있습니다. 욥기 12장 구조분석친구들의 조언에 ..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1장 강해 설교

욥기 11장욥기 11장에서 욥의 세 번째 친구인 소발이 처음으로 발언합니다. 그는 욥이 지나치게 자신을 의롭다고 주장한다고 비판하며, 사실 욥이 하나님께 받는 벌보다 더 큰 벌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말합니다(욥 11:1-6). 소발은 하나님의 지혜는 인간이 이해할 수 없을 만큼 깊고 넓으며, 욥이 자신의 무지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욥 11:7-12). 그는 욥이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이키면, 하나님께서 그를 다시 번영하게 하실 것이라고 조언합니다(욥 11:13-20). 그러나 소발의 말은 욥의 고난을 단순한 인과응보의 관점에서만 해석하려는 오류를 보이며, 욥의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욥기 11장 구조분석소발의 첫 번째 연설: 욥의 말을 비판함 (욥 11:1-6)하나님의 지혜..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10장 강해 설교

욥기 10장여러분은 혹시 살아가면서 하나님께 질문하고 싶지 않나요? 특히 고난과 역경이 덮쳐 올 때 질문하지 않고 견딜 수 없습니다. 욥기 10장에서 욥은 자신의 고난을 깊이 탄식하며, 하나님께 직접 질문합니다. 그는 자신이 무죄하다고 주장하며, 하나님께서 자신을 괴롭게 하시는 이유를 묻습니다(욥 10:1-7). 욥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창조하셨음에도 왜 이제 자신을 멸하시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한탄합니다(욥 10:8-12). 그는 하나님의 섭리가 마치 자신을 속이시는 것처럼 느껴지며, 자신이 죄를 지었든 안 지었든 결국 고난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욥 10:13-17). 결국, 욥은 자신의 삶이 너무도 고통스럽기에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고 절망적으로 말하며, 하나님께서 자신을 잠시라..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9장 강해 설교

욥기 9장욥기 9장에서 욥은 하나님과 논쟁할 수 없음을 인정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지혜로우시고 전능하시며, 인간이 그분 앞에서 의로울 수 없다고 말합니다(욥 9:2-12). 욥은 하나님께서 자연과 인간의 삶을 주관하시지만, 때때로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역사하신다고 탄식합니다. 그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고 싶지만, 인간은 하나님과 변론할 힘이 없다고 말합니다(욥 9:13-20). 욥은 하나님이 자신의 고난을 멈추시지 않는 것에 대해 절망하며, 자신의 억울함을 풀 기회조차 없다고 탄식합니다(욥 9:21-35). 욥기 9장은 인간이 하나님의 주권 앞에서 얼마나 작고 연약한지를 깊이 묵상하도록 저희를 이끕니다. 오늘도 욥의 깊은 탄식을 통해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을 만나시기 바랍ㄴ..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8장 강해 설교

욥기 8장욥기 8장에서 욥의 친구 중 하나인 빌닷이 첫 번째 발언을 합니다. 그는 욥의 말이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합니다(욥 8:2-3). 빌닷은 욥의 자녀들이 멸망한 것은 그들의 죄 때문이며, 욥이 정직하다면 하나님께서 그를 회복시켜 주실 것이라고 주장합니다(욥 8:4-7). 그는 조상들의 지혜를 인용하며, 하나님을 찾고 의로운 길을 걸으면 반드시 형통함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욥 8:8-10). 또한, 악인은 반드시 멸망하고 의인은 번영한다는 논리를 펴며(욥 8:11-19), 욥에게 하나님을 의지하라고 권면합니다(욥 8:20-22). 그러나 빌닷의 말은 지나치게 단순한 인과응보의 논리에 갇혀 있으며, 욥의 고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빌닷의 주장이 모두 틀렸다.. 시가서강해 2025. 3. 15.

욥기 7장 강해 설교

욥기 7장욥기 7장에서 욥은 자신의 삶이 철저한 고난과 고통 속에 있음을 탄식하며, 인간의 생애가 고달픈 노동과 같다고 말합니다(욥 7:1-6). 그는 밤이 되면 잠들 수도 없고, 아침을 기다리며 괴로워합니다. 욥은 하나님께 자신의 괴로움을 직접 토로하며, 왜 자신을 감찰하시고 쉬지 못하게 하시는지 묻습니다(욥 7:17-20). 그는 자신의 삶이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한낱 존재와 같다고 여기며, 차라리 하나님께서 자신을 내버려 두시기를 간구합니다(욥 7:21). 이 부분은 역설적입니다. 자신을 존귀한 존재로 여기는 하나님에 대한 감사의 내용이기도 합니다. 욥기 7장은 극심한 고통 속에서 인간이 느끼는 무력감과, 하나님께 대한 깊은 질문을 담고 있습니다. 욥기 7장 구조분석인생의 고달픔과 허무함 (욥 .. 시가서강해 2025. 3. 15.

2025년 4월 대표기도문 모음

2025년 4월 기도모음2025년 4월에 드리는 기도문입니다. 각 주일 낮 예배와 주일 오후, 수요 기도회, 특별히 고난주간 새벽 기도회를 추가했습니다. 기도문은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완성된 기도문은 이곳에 링크가 되어 있지만 아직 미완성 기도문은 차우에 링크됩니다. 2025년 4월 교회력4월 둘째주일 / 13일 종려주일4월 14일부터 19일까지 고난주간3월 셋째 주일 / 20일 부활주일 주일 낮 대표기도문주일낮 예배 기도문의 핵심적인 내용을 이곳에 옮겨왔습니다. 각 주일 제목을 클릭하시면 전체 기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월 첫째 주일 대표기도문영원히 변치 않으시는 하나님 아버지, 날마다 새 은혜를 베푸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해마다 꽃이 피고, 들판에 초목이 돋아나는 것은 주님의 신실.. 대표기도문 2025. 3. 15.

욥기 6장 강해 설교

욥기 6장욥기 6장에서 욥은 자신이 겪는 고통이 너무 크므로, 자신의 말이 과장되거나 감정적인 것이 당연하다고 변호합니다(욥 6:2-3).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치셨기에 절망하고 있으며, 죽기를 원하는 심정을 토로합니다(욥 6:8-9). 욥은 자신의 친구들이 신뢰할 수 없는 자들처럼 행동한다고 비판하며(욥 6:14-21), 그들이 진정으로 위로자가 되려면 자신의 입장을 이해하고 정죄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욥 6:24-30). 욥기 6장은 고난 속에서 인간이 겪는 심리적 갈등과 위로자의 역할에 대해 깊은 교훈을 줍니다. 욥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이제 6장의 구조와 본문 묵상으로 들어가 봅시다. 욥기 6장 구조분석욥의 고난과 절망의 무게 (욥 6:1-7)죽음을 바.. 시가서강해 2025. 3. 14.

욥기 5장 강해 설교

욥기 5장욥기 5장에서 엘리바스는 계속해서 욥에게 권면하며, 인과응보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는 악인을 벌하시고, 겸손한 자를 높이신다고 주장하며(욥 5:3-5), 사람이 스스로 죄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고난은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욥 5:6-7). 그는 욥에게 하나님께 도움을 구할 것을 권면하며,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책망하실지라도 결국에는 회복시키시는 분이심을 강조합니다(욥 5:17-18). 엘리바스는 욥이 하나님을 신뢰하고 순종한다면 다시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지만(욥 5:24-26), 그의 논리는 욥의 실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단순한 인과응보적 사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인과응보의 원리에 대한 강조 (욥 5:1-7)하나님께 의뢰할 것을 권면 (욥 5:8-16)하.. 시가서강해 2025. 3. 13.
반응형